go back icon

공유하기

그 중에 어떤 자는 섬기는 데 쓰는 기구를 맡아서 그 수효대로 들여가고 수효대로 내오며 또 어떤 자는 성소의 기구와 모든 그릇과 고운 가루와 포도주와 기름과 유향과 향품을 맡았으며 또 제사장의 아들 중의 어떤 자는 향품으로 향기름을 만들었으며 고라 자손 살룸의 맏아들 맛디댜라 하는 레위 사람은 전병을 굽는 일을 맡았으며 또 그의 형제 그핫 자손 중에 어떤 자는 진설하는 떡을 맡아 안식일마다 준비하였더라 또 찬송하는 자가 있으니 곧 레위 우두머리라 그들은 골방에 거주하면서 주야로 자기 직분에 전념하므로 다른 일은 하지 아니하였더라 그들은 다 레위 가문의 우두머리이며 그들의 족보의 우두머리로서 예루살렘에 거주하였더라 기브온의 조상 여이엘은 기브온에 거주하였으니 그의 아내의 이름은 마아가라 그의 맏아들은 압돈이요 다음은 술과 기스와 바알과 넬과 나답과 그돌과 아히오와 스가랴와 미글롯이며 미글롯은 시므암을 낳았으니 그들은 그들의 친족들과 더불어 마주하고 예루살렘에 거주하였더라 넬은 기스를 낳고 기스는 사울을 낳고 사울은 요나단과 말기수아와 아비나답과 에스바알을 낳았으며 요나단의 아들은 므립바알이라 므립바알은 미가를 낳았고 미가의 아들들은 비돈과 멜렉과 다레아와 아하스이며 아하스는 야라를 낳고 야라는 알레멧과 아스마웻과 시므리를 낳고 시므리는 모사를 낳고 모사는 비느아를 낳았으며 비느아의 아들은 르바야요 그의 아들은 엘르아사요 그의 아들은 아셀이며 아셀이 여섯 아들이 있으니 그들의 이름은 아스리감과 보그루와 이스마엘과 스아랴와 오바댜와 하난이라 아셀의 아들들이 이러하였더라

역대상 9:28-44

역대상 > 9장 > 28-44

역대상 9:28-44

역대상 9:28-44 개역개정

그 중에 어떤 자는 섬기는 데 쓰는 기구를 맡아서 그 수효대로 들여가고 수효대로 내오며

또 어떤 자는 성소의 기구와 모든 그릇과 고운 가루와 포도주와 기름과 유향과 향품을 맡았으며

또 제사장의 아들 중의 어떤 자는 향품으로 향기름을 만들었으며

고라 자손 살룸의 맏아들 맛디댜라 하는 레위 사람은 전병을 굽는 일을 맡았으며

또 그의 형제 그핫 자손 중에 어떤 자는 진설하는 떡을 맡아 안식일마다 준비하였더라

또 찬송하는 자가 있으니 곧 레위 우두머리라 그들은 골방에 거주하면서 주야로 자기 직분에 전념하므로 다른 일은 하지 아니하였더라

그들은 다 레위 가문의 우두머리이며 그들의 족보의 우두머리로서 예루살렘에 거주하였더라

기브온의 조상 여이엘은 기브온에 거주하였으니 그의 아내의 이름은 마아가라

그의 맏아들은 압돈이요 다음은 술과 기스와 바알과 넬과 나답과

그돌과 아히오와 스가랴와 미글롯이며

미글롯은 시므암을 낳았으니 그들은 그들의 친족들과 더불어 마주하고 예루살렘에 거주하였더라

넬은 기스를 낳고 기스는 사울을 낳고 사울은 요나단과 말기수아와 아비나답과 에스바알을 낳았으며

요나단의 아들은 므립바알이라 므립바알은 미가를 낳았고

미가의 아들들은 비돈과 멜렉과 다레아와 아하스이며

아하스는 야라를 낳고 야라는 알레멧과 아스마웻과 시므리를 낳고 시므리는 모사를 낳고

모사는 비느아를 낳았으며 비느아의 아들은 르바야요 그의 아들은 엘르아사요 그의 아들은 아셀이며

아셀이 여섯 아들이 있으니 그들의 이름은 아스리감과 보그루와 이스마엘과 스아랴와 오바댜와 하난이라 아셀의 아들들이 이러하였더라

역대상 9:28-44 해설

28이 구절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봉사하는 레위인들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합니다. 여기서 "그 중에 어떤 자는 섬기는 데 쓰는 기구를 맡아서"라는 표현은 특정 레위인들이 성전의 기물들을 관리하며 정돈된 상태로 보존해야 하는 임무를 맡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수효대로 들여가고 수효대로 내오며"라는 부분은 이러한 기물들이 정확하고 질서 있게 사용되고 다시 제자리에 놓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있어서 체계와 규율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모든 세부 사항까지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신중하게 다뤄져야 함을 시사합니다.

29이 구절은 성전에서 봉사하는 레위인들 중 일부가 다양한 성구와 재료들을 관리하는 임무를 맡았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성소의 기구와 각종 그릇, 제물로 쓰이는 고운 가루, 포도주, 기름, 유향 및 향료 등은 모두 예배와 제사에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입니다. 이러한 정교한 관리가 필요했던 이유는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와 제사가 거룩하고 질서 있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있어 얼마나 세심하고 철저하게 준비해야 하는지 깨달을 수 있습니다.

30이 구절은 성전에서의 제사장들의 다양한 역할 중 하나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제사장의 아들들이 맡은 중요한 임무 중 하나는 향기로운 기름, 즉 성소에서 사용될 향품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제조가 아니라, 신성한 의식과 관련된 중요한 작업으로 여겨졌습니다. 이러한 임무는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와 봉사의 일부로써, 깨끗하고 정결하게 이루어져야 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께 드리는 모든 일이 전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깨닫게 됩니다.

31이 구절은 고라 자손 중 살룸의 맏아들 맛디댜가 전병을 굽는 일을 맡았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성전에서 행해지는 제사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사람들을 소개하는 부분입니다. 전병은 제사와 관련된 음식으로, 이러한 업무를 담당했던 레위 사람들의 책임과 섬김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맛디댜의 직무는 단순한 요리가 아니라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의 일환으로 성전에서 거룩하게 수행되는 일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께 드리는 모든 봉사와 섬김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중요한 것임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32역대상 9:32은 특히 성막과 성전에 있는 진설병(매주 안식일마다 바꾸는 떡)을 준비하는 역할을 맡은 그핫 자손들의 책임과 헌신을 강조하며,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와 봉사에 대한 중요한 책임감을 나타냅니다. 이는 제사장직과 그들의 사명에 대한 상징으로, 하나님 앞에서 정결하고 온전한 마음으로 섬겨야 함을 의미합니다. 그핫 자손의 충성스러운 봉사는 오늘날의 신자들에게도 예배와 봉사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합니다.

33역대상 9:33 말씀은 레위인들 중 찬송하는 자들이 그들의 직분에 얼마나 헌신적이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들은 하나님의 성전을 섬기는 일을 위해 선택된 사람들로, 주야로 찬송을 드리며 다른 일에는 종사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그들이 얼마나 하나님을 경외하고 예배에 전념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모습은 오늘날의 성도들에게도 영적 생활에서 하나님께 전적으로 헌신하는 중요한 본보기가 됩니다.

34이 구절은 레위 가문의 지도자들이 예루살렘에 거주하고 있었음을 말합니다. 레위 가문은 이스라엘 백성 중에서 특별히 하나님의 성전에서 봉사할 임무를 받은 집안으로, 그들의 지휘자는 종종 성전 관리와 예배 인도를 책임졌습니다. 예루살렘(현재의 이름도 동일)이라는 도시는 고대 이스라엘의 중심지로, 특히 성전이 위치한 곳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레위 가문의 지도자들이 그곳에 거주한 것은 그들의 종교적, 공동체적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매우 적절한 배치였음을 보여줍니다.

35이 구절은 기브온 사람 여이엘과 그의 아내 마아가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여이엘은 이스라엘의 중요한 도시 중 하나인 기브온(현재의 알-지브)에서 거주한 인물로, 그의 이름과 가족사적 배경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의 족보와 연결성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이는 역대상이 이스라엘 역사와 족보를 기록할 때 신중하게 인물 하나하나를 기억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그의 아내 마아가의 이름을 특별히 언급함으로써, 가족 구성원들의 존재와 역할을 소중히 여기던 당시 사회적 문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36해당 구절은 사울 왕의 조상들을 나열하는 족보의 일부분입니다. 압돈, 술, 기스, 바알, 넬, 나답 등의 이름이 언급되며, 이들은 사울 왕의 가족으로서 그 계보를 확인시켜 줍니다. 이런 족보는 이스라엘 (현재의 이스라엘) 백성들의 역사와 신앙 전통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언약과 그에 따르는 축복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이를 통해 성경 독자들에게 하나님의 구속사가 실제 인물과 역사를 통해 전개되었음을 깨닫게 합니다.

37이 구절은 유다 지파의 가계도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특히 구체적인 인물들의 이름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그돌', '아히오', '스가랴', 그리고 '미글롯'은 이 계보에 속한 인물들로서 족보를 이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기록은 자신들의 역사와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성경에서 이러한 계보의 나열은 하나님의 약속이 특정 가문과 사람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그분의 계획과 섭리가 세대를 거쳐 이어짐을 보여줍니다.

38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의 계보를 기록한 부분으로, 미글롯이라는 사람과 그의 후손인 시므암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그들의 친족들과 함께 예루살렘에 거주하였다고 합니다. 이는 바벨론 포로기에서 돌아와 예루살렘 재건을 위해 거주한 사람들을 나타내며, 그들의 공동체적 삶과 신앙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공동체 내에서 가족과 친족들이 함께 거주하는 것이 유대인의 전통적인 가치를 유지하고 신앙생활을 지속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줍니다.

39이 구절은 사울의 족보를 나열한 것으로, 특별히 그의 아버지와 아들들을 소개하는 부분입니다. 넬은 사울의 할아버지이며, 기스는 그의 아버지입니다. 사울은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서 요나단, 말기수아, 아비나답, 에스바알 등 네 명의 아들을 두었습니다. 이러한 족보 기록은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들의 계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특히 다윗 이전 시대의 배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 속에서 이루어진 왕국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40므립바알은 사울 왕의 손자이자 요나단의 아들로, 원래 이름은 므비보셋입니다. 그의 이름이 "므립바알"로 표기된 이유는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이 바알이라는 신의 이름을 꺼렸기 때문입니다. 므립바알(므비보셋)은 구약성경에서 다윗 왕과 특별한 관계를 맺었으며, 장애에도 불구하고 다윗의 특별한 보호와 은혜를 받았습니다. 므립바알(므비보셋)의 아들은 미가인데, 이는 후손들이 대대로 이어져 가는 것을 보여줍니다.

41이 구절은 역대상 9장에서 돌아온 유다 백성의 족보를 나열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미가'는 두드러진 인물이 아니지만, 그의 아들들의 이름이 기록된 것은 그들의 가문과 역사 속 위치를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이 명단은 단지 혈통을 기록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으며, 하나님의 구속사에 있어 각 사람과 가문의 중요성을 드러냅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계획 안에서 모든 개인과 가족을 주목하시고 사용하신다는 점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42이 구절은 이스라엘의 족보를 기록한 것으로, 특정 가문이 어떻게 이어져 내려왔는지를 보여줍니다. 아하스부터 시작하여 그의 후손인 야라, 알레멧, 아스마웻, 시므리 그리고 모사까지의 계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족보는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있어 중요한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그들의 혈통과 언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셨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역사 속에서의 그분의 인도하심을 보여주는 중요한 구절입니다.

43역대상 9:43은 계보를 통해 이스라엘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도록 돕는 구절입니다. 모사의 후손들, 즉 비느아, 르바야, 엘르아사, 아셀 등이 언급되며 이는 특정 가문의 족보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족보 기록은 하나님의 약속이 신실하게 이어져 왔음을 증거하며 또한 이스라엘 공동체의 정체성과 효제사상(父子思想)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계보들은 신앙 공동체 안에서 하나님께서 어떤 방식으로 일하셨는지를 기억하게 하여 믿음의 사람들에게 큰 의미를 부여합니다.

44이 구절은 주로 족보 기록의 일환으로, 아셀의 후손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아셀은 벤야민 지파(이스라엘 12지파 중 하나)의 자손으로, 이스라엘 역사상 중요한 인물들임을 나타냅니다. 그의 여섯 아들들의 이름은 각각 별개의 인물을 가리키며, 이는 하나님께서 각 개인에게 주신 고유한 사명과 역할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족보 기록은 신앙 공동체가 자신의 뿌리를 알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되새기는 데 도움을 줍니다.

easy bible

역대상 9장 해설

이스라엘 백성의 예루살렘 귀환과 계열 정리

역대상 9:28-44 관련 성경

역대상 개요
역대상 9장
역대상 9:28
역대상 9:29
역대상 9:30
역대상 9:31
역대상 9:32
역대상 9:33
역대상 9:34
역대상 9:35
역대상 9:36
역대상 9:37
역대상 9:38
역대상 9:39
역대상 9:40
역대상 9:41
역대상 9:42
역대상 9:43
역대상 9:44
역대상 9:1-2
역대상 9:1-3
역대상 9:1-9
역대상 9:1-32
역대상 9:1-34
역대상 9:1-44
역대상 9:2-3
역대상 9:10-16
역대상 9:15-23
역대상 9:16-17
역대상 9:17-19
역대상 9:17-27
역대상 9:19-21
역대상 9:22-23
역대상 9:22-24
역대상 9:22-27
역대상 9:25-26
역대상 9:25-28
역대상 9:26-27
역대상 9:28-44
역대상 9:33-34
역대상 9:35-36
역대상 9:3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