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열왕기상 19:1-21
열왕기상 > 19장 > 1-21절
열왕기상 19:1-21 개역개정
아합이 엘리야가 행한 모든 일과 그가 어떻게 모든 선지자를 칼로 죽였는지를 이세벨에게 말하니
이세벨이 사신을 엘리야에게 보내어 이르되 내가 내일 이맘때에는 반드시 네 생명을 저 사람들 중 한 사람의 생명과 같게 하리라 그렇게 하지 아니하면 신들이 내게 벌 위에 벌을 내림이 마땅하니라 한지라
그가 이 형편을 보고 일어나 자기의 생명을 위해 도망하여 유다에 속한 브엘세바에 이르러 자기의 사환을 그 곳에 머물게 하고
자기 자신은 광야로 들어가 하룻길쯤 가서 한 로뎀 나무 아래에 앉아서 자기가 죽기를 원하여 이르되 여호와여 넉넉하오니 지금 내 생명을 거두시옵소서 나는 내 조상들보다 낫지 못하니이다 하고
로뎀 나무 아래에 누워 자더니 천사가 그를 어루만지며 그에게 이르되 일어나서 먹으라 하는지라
본즉 머리맡에 숯불에 구운 떡과 한 병 물이 있더라 이에 먹고 마시고 다시 누웠더니
여호와의 천사가 또 다시 와서 어루만지며 이르되 일어나 먹으라 네가 갈 길을 다 가지 못할까 하노라 하는지라
이에 일어나 먹고 마시고 그 음식물의 힘을 의지하여 사십 주 사십 야를 가서 하나님의 산 호렙에 이르니라
엘리야가 그 곳 굴에 들어가 거기서 머물더니 여호와의 말씀이 그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엘리야야 네가 어찌하여 여기 있느냐
그가 대답하되 내가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께 열심이 유별하오니 이는 이스라엘 자손이 주의 언약을 버리고 주의 제단을 헐며 칼로 주의 선지자들을 죽였음이오며 오직 나만 남았거늘 그들이 내 생명을 찾아 빼앗으려 하나이다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너는 나가서 여호와 앞에서 산에 서라 하시더니 여호와께서 지나가시는데 여호와 앞에 크고 강한 바람이 산을 가르고 바위를 부수나 바람 가운데에 여호와께서 계시지 아니하며 바람 후에 지진이 있으나 지진 가운데에도 여호와께서 계시지 아니하며
또 지진 후에 불이 있으나 불 가운데에도 여호와께서 계시지 아니하더니 불 후에 세미한 소리가 있는지라
엘리야가 듣고 겉옷으로 얼굴을 가리고 나가 굴 어귀에 서매 소리가 그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엘리야야 네가 어찌하여 여기 있느냐
그가 대답하되 내가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께 열심이 유별하오니 이는 이스라엘 자손이 주의 언약을 버리고 주의 제단을 헐며 칼로 주의 선지자들을 죽였음이오며 오직 나만 남았거늘 그들이 내 생명을 찾아 빼앗으려 하나이다
여호와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너는 네 길을 돌이켜 광야를 통하여 다메섹에 가서 이르거든 하사엘에게 기름을 부어 아람의 왕이 되게 하고
너는 또 님시의 아들 예후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의 왕이 되게 하고 또 아벨므홀라 사밧의 아들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
하사엘의 칼을 피하는 자를 예후가 죽일 것이요 예후의 칼을 피하는 자를 엘리사가 죽이리라
그러나 내가 이스라엘 가운데에 칠천 명을 남기리니 다 바알에게 무릎을 꿇지 아니하고 다 바알에게 입맞추지 아니한 자니라
엘리야가 거기서 떠나 사밧의 아들 엘리사를 만나니 그가 열두 겨릿소를 앞세우고 밭을 가는데 자기는 열두째 겨릿소와 함께 있더라 엘리야가 그리로 건너가서 겉옷을 그의 위에 던졌더니
그가 소를 버리고 엘리야에게로 달려가서 이르되 청하건대 나를 내 부모와 입맞추게 하소서 그리한 후에 내가 당신을 따르리이다 엘리야가 그에게 이르되 돌아가라 내가 네게 어떻게 행하였느냐 하니라
엘리사가 그를 떠나 돌아가서 한 겨릿소를 가져다가 잡고 소의 기구를 불살라 그 고기를 삶아 백성에게 주어 먹게 하고 일어나 엘리야를 따르며 수종 들었더라
열왕기상 19:1-21 해설
1이 구절은 이스라엘의 왕 아합이 그의 아내 이세벨에게 엘리야 선지자가 바알 선지자들을 죽인 일을 보고하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엘리야는 갈멜 산에서 하나님께서 참된 신임을 증명한 후, 바알과 아세라의 거짓 선지자들을 처단하였습니다(열왕기상 18장). 이에 대한 보복으로 이세벨은 엘리야를 죽이고자 결심하게 됩니다. 이 상황은 하나님의 진리가 세속 권력과 충돌할 때 어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하나님의 종들이 때로는 큰 도전에 직면하더라도 하나님의 인도와 보호를 의지해야 함을 상기시킵니다.
2이세벨은 이스라엘 왕 아합의 아내로, 바알과 아세라 숭배를 장려한 악한 여왕입니다. 엘리야 선지자가 갈멜산에서 바알과 아세라 예언자들을 처단하자, 이세벨은 이를 매우 분노하여 엘리야를 죽이겠다고 협박합니다. 그녀의 위협은 매우 강력하고 즉각적이며, 이는 엘리야를 두렵게 하여 피신하게 만듭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을 섬기는 자가 어둠의 세력으로부터 겪는 극심한 박해와 그로 인한 두려움을 잘 보여줍니다. 그러나 결국 엘리야는 하나님의 도우심을 받아 위험을 피하고 사명을 계속 이어나갑니다.
3이 본문에서 엘리야는 이세벨의 위협 때문에 두려움에 빠져 도망가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엘리야는 하나님의 강력한 선지자로서 갈멜산에서 바알의 선지자들과 대결하고 큰 승리를 거둔 뒤, 이세벨이 그를 죽이겠다고 협박하자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유다의 브엘세바(현재의 비르셰바)로 피신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믿음의 사람이었던 엘리야조차도 두려움과 절망에 빠질 수 있다는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냅니다. 그러나 이후 하나님께서는 다시 엘리야에게 다가가 힘을 주시고 사명을 재확인하게 하십니다. 이는 하나님의 신실함과 지속적인 돌보심을 보여줍니다.
4이 구절은 엘리야가 이세벨의 위협을 피하여 광야로 도망갔을 때의 상황을 그린다. 엘리야는 하나님의 일을 수행하면서 겪은 극심한 압박과 두려움으로 인해 절망에 빠져, 자신의 생명을 거두어 달라고 하나님께 간청한다. 이는 인간적인 한계와 연약함을 드러내며, 아무리 신앙이 깊더라도 고난 중에 낙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하나님의 위로와 계획이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도 암시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진솔한 감정을 통해 우리도 어려운 상황에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 용기를 얻는다.
5이 구절은 예언자 엘리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엘리야는 아합 왕과 이세벨 왕비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받아 도망친 후, 로뎀 나무 아래에서 지쳐 잠든 상황입니다. 천사가 나타나 엘리야를 어루만지며, 일어나서 먹으라는 말씀을 전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지친 엘리야를 직접 돌보시고 힘을 주시는 장면으로, 인간의 연약함 속에서도 하나님의 돌봄과 위로가 함께함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우리가 절망하고 힘들어할 때에도 우리를 찾아와 회복시키시는 분이며, 그분의 섬세한 사랑과 인도하심이 항상 함께한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6이 구절은 엘리야가 이세벨의 위협으로 인해 광야로 도망간 후, 한 로뎀나무 아래에서 지쳐 잠든 장면을 묘사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천사를 통해 엘리야를 돌보시며 그에게 숯불에 구운 떡과 물 한 병을 제공하십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의 종을 절망과 고난 속에서도 돌보시고 필요한 것을 공급하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하나님의 신실한 사랑과 자비를 강조하는 장면입니다.
7이 구절은 엘리야가 아합 왕과 이세벨로부터 도망친 후의 상황을 다룹니다. 엘리야는 지친 몸과 마음으로 광야에 들어가 한 로뎀 나무 아래에서 죽기를 원하며 잠듭니다. 여호와의 천사가 그에게 나타나 음식을 제공하고, 다시 한번 엘리야를 일으켜 세우며 앞으로 가야 할 길을 갈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의 선지자를 외롭고 낙심한 상태에서도 돌보시고 필요한 힘을 공급해 주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장면은 우리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에도 하나님께서 우리를 돌보시고 인도하신다는 중요한 영적 진리를 담고 있습니다.
8이 구절은 엘리야 선지자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광야로 나아가던 장면을 묘사합니다. 엘리야는 이세벨 왕후에게서 도망쳐 낙심하고 지친 상태였으나, 천사가 주는 음식물을 먹고 힘을 얻었습니다. 이 힘으로 그는 사십 주 사십 야를 걸어 시내 산(호렙)인 하나님의 산까지 이르렀습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산 호렙'은 모세가 하나님을 만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여정은 엘리야의 신앙과 순종,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의 필요를 채우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9엘리야는 아합 왕과 이세벨 왕비로부터 죽임을 당할 위협 때문에 급히 도망쳐 호렙산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그곳의 굴에 숨어 있던 엘리야에게 하나님께서 말씀을 통해 "네가 어찌하여 여기 있느냐"고 묻습니다. 이는 엘리야가 두려움과 절망 속에 있는 이유와 그의 사명을 재확인하려는 하나님의 질문입니다. 하나님은 그를 다시 세워 하나님의 뜻을 이루도록 격려하고자 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우리 삶의 어려운 순간에도 하나님이 우리의 상황을 알고 계시며, 우리를 새로운 사명으로 부르신다는 중요한 교훈을 배울 수 있습니다.
10엘리야는 이 구절에서 자신의 절망과 고통을 하나님께 토로하고 있습니다. 그는 여호와께 대한 열심이 유별하였으나, 이스라엘 자손들이 하나님의 언약을 저버리고 제단을 헐며 선지자들을 죽였다고 말합니다. 또한 자신만 홀로 남아 있으며, 그들도 자신을 죽이려고 한다고 호소합니다. 이는 엘리야가 아합 왕과 이세벨의 악행에 맞서 하나님께 충성했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의 배교와 자신에게 닥친 위협으로 인해 깊은 좌절과 두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11이 구절은 엘리야가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소명을 받기 전,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장면입니다. 하나님의 힘과 능력을 상징하는 강한 바람, 지진 등 자연 현상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지만, 그 가운데서도 하나님은 나타나지 않으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임재가 큰 기적이나 현상 속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잔잔하고 조용한 가운데에서도 역사하실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엘리야는 이러한 경험을 통해 외형적인 능력보다 깊은 신앙의 의미를 깨닫게 되며, 그는 이후 더욱 충성된 선지자로서의 사역을 감당할 수 있게 됩니다.
12이 구절은 엘리야가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 호렙 산으로 갔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강력한 자연 현상들, 즉 큰 바람, 지진 그리고 불 속에서도 나타나지 않으셨습니다. 그러나 그 후에 세미한 소리로 엘리야에게 임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임재가 항상 눈에 보이는 대단한 사건이나 현상 속에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조용하고 미세한 방식으로도 우리에게 다가오실 수 있음을 상징합니다.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인도받기 위해 우리는 때때로 조용하게 기다리고 경청하는 마음 자세를 가져야 함을 교훈해 줍니다.
13엘리야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두려움과 경외심으로 겉옷으로 자신의 얼굴을 가린 후, 굴 어귀에 서서 하나님께 응답합니다. 그 당시 그는 이세벨의 위협으로 인해 도망쳐 지쳐 있었고, 자신이 혼자 남아있다고 느끼며 절망에 빠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음성은 그런 엘리야를 위로하며 그의 존재 이유와 사명을 다시 확인시켜 주기 위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엘리야가 혼자가 아님을 알려주며, 여전히 그의 섭리가 엘리야를 통해 일하고 있음을 상기시키십니다. 이는 우리가 절망과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고, 그의 계획 안에서 우리 역할의 중요성을 기억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14이 구절은 엘리야 선지자가 하나님께 호소하는 장면입니다. 엘리야는 하나님을 향한 자신의 열정과 헌신을 강조하며, 이스라엘 자손들이 하나님의 언약을 버리고 제단을 헐며, 하나님의 선지자들을 죽였다고 고백합니다. 그는 자신만이 남아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그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고 탄식합니다. 이는 엘리야의 깊은 외로움과 절망감을 드러내며, 하나님께 도움과 인도를 구하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엘리야는 여호와 하나님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신뢰를 가지고 있습니다.
15하나님께서 엘리야에게 명령하셔서 다메섹(현재의 시리아 수도인 다마스쿠스)에 가서 하사엘을 아람(현재의 시리아) 왕으로 세우라고 하십니다. 이 장면은 엘리야가 하나님의 예언자로서 하나님의 뜻을 따라 중요한 인물을 세우는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중대한 역사적 사건에 대해 주도권을 가지고 계시며, 하나님의 계획이 인간 역사를 통해 실현됨을 나타냅니다.
16이 구절에서는 하나님께서 엘리야에게 두 가지 중요한 임무를 맡기십니다. 첫째는 님시의 아들 예후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우라는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뜻에 따라 이스라엘의 지도자를 임명하는 행위입니다. 둘째는 아벨므홀라 출신 사밧의 아들 엘리사를 엘리야 대신 선지자로 세우라는 명령입니다. 이는 엘리야의 대를 이어 나갈 새로운 선지자를 준비하라는 의미로, 하나님의 사역이 계속 이어지도록 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하나님 명령을 통해, 하나님은 그의 종들을 통해 이스라엘을 지속적으로 인도하고 보호하시고자 하는 뜻을 나타내십니다.
17엘리야 선지자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명령에 대한 구절입니다.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불순종을 심판하실 계획을 드러내는 내용입니다. 하사엘, 예후, 엘리사는 각기 다른 시기에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되며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일합니다. 하사엘은 아람(현재의 시리아)의 왕이 되어 이스라엘에 혼란을 주고, 예후는 북이스라엘 왕이 되어 바알 숭배를 제거하며 정화 작업을 합니다. 엘리사는 선지자로서 영적 지도자로 활동하며 하나님의 경고와 심판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결국,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뜻과 정의를 이루시기 위해 다양한 사람들을 사용하심을 보여줍니다.
18하나님께서는 엘리야에게 그를 위로하시며 여전히 하나님께 충실한 7천 명의 사람들이 이스라엘에 남아 있음을 알려주십니다. 이는 엘리야가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시며, 하나님께 대한 신실함이 전국적으로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음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바알(우상)에 굴복하지 않은 사람들을 통해 하나님의 계획과 언약이 계속될 것임을 상기시키며, 소망을 잃지 말고 사명에 충실할 것을 권면합니다. 이 말씀은 믿음의 사람들이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서 보호되고 있다는 확신과 격려를 줍니다.
19엘리야가 엘리사를 만나 겉옷을 던진 사건은 매우 중요한 상징적 행위입니다. 겉옷을 던지는 것은 제자의 소명을 의미하며, 이는 엘리사가 선지자로서의 소명을 받는 순간임을 나타냅니다. 엘리사는 당시 농사를 짓고 있었지만, 이 행위를 통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음을 깨닫고 즉시 따르게 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선택한 자가 세상적인 삶에서 벗어나 신실하게 그의 뜻에 따라 나아가게 하신다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0이 구절은 엘리야가 엘리사를 그의 후계자로 부르며 일어난 사건을 묘사합니다. 엘리사는 소를 몰며 농사를 짓던 중, 엘리야의 부름을 받고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그러나 그는 먼저 부모와 작별인사를 하고 싶다고 청하며, 이는 그의 가족에 대한 존경과 애정을 나타냅니다. 엘리야는 그에게 돌아가라고 허락하며, "내가 네게 어떻게 행하였느냐"라는 말로 자신이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행동한 것임을 시사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부르심 앞에서 가정의 의무와 책임을 중히 여기는 동시에, 제자의 길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결단과 희생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21엘리사 선지자는 엘리야를 따르기 전에 자신의 이전 삶과 연결된 모든 것을 정리하고 결별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한 겨릿소를 가져다 잡고, 소를 이용하던 기구들로 불을 피워 고기를 삶아 백성들에게 나누어 줍니다. 이는 엘리사가 농부의 생활을 완전히 버리고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여 엘리야 선지자를 따르는 새로운 사역의 길로 나서게 됨을 상징합니다. 다시 돌아갈 길을 모두 끊고 하나님께 헌신하는 그의 모습은 믿음과 결단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열왕기상 19장 해설
엘리야의 도피와 하나님의 음성
열왕기상 19:1-21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