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다니엘 3:8-18
다니엘 > 3장 > 8-18절
다니엘 3:8-18 개역개정
그 때에 어떤 갈대아 사람들이 나아와 유다 사람들을 참소하니라
그들이 느부갓네살 왕에게 이르되 왕이여 만수무강 하옵소서
왕이여 왕이 명령을 내리사 모든 사람이 나팔과 피리와 수금과 삼현금과 양금과 생황과 및 모든 악기 소리를 듣거든 엎드려 금 신상에게 절할 것이라
누구든지 엎드려 절하지 아니하는 자는 맹렬히 타는 풀무불 가운데에 던져 넣음을 당하리라 하지 아니하셨나이까
이제 몇 유다 사람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는 왕이 세워 바벨론 지방을 다스리게 하신 자이거늘 왕이여 이 사람들이 왕을 높이지 아니하며 왕의 신들을 섬기지 아니하며 왕이 세우신 금 신상에게 절하지 아니하나이다
느부갓네살 왕이 노하고 분하여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를 끌어오라 말하매 드디어 그 사람들을 왕의 앞으로 끌어온지라
느부갓네살이 그들에게 물어 이르되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야 너희가 내 신을 섬기지 아니하며 내가 세운 금 신상에게 절하지 아니한다 하니 사실이냐
이제라도 너희가 준비하였다가 나팔과 피리와 수금과 삼현금과 양금과 생황과 및 모든 악기 소리를 들을 때 내가 만든 신상 앞에 엎드려 절하면 좋거니와 너희가 만일 절하지 아니하면 즉시 너희를 맹렬히 타는 풀무불 가운데에 던져 넣을 것이니 능히 너희를 내 손에서 건져낼 신이 누구이겠느냐 하니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가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느부갓네살이여 우리가 이 일에 대하여 왕에게 대답할 필요가 없나이다
왕이여 우리가 섬기는 하나님이 계시다면 우리를 맹렬히 타는 풀무불 가운데에서 능히 건져내시겠고 왕의 손에서도 건져내시리이다
그렇게 하지 아니하실지라도 왕이여 우리가 왕의 신들을 섬기지도 아니하고 왕이 세우신 금 신상에게 절하지도 아니할 줄을 아옵소서
다니엘 3:8-18 해설
8이 구절은 바벨론(현재의 이라크) 왕 느부갓네살이 금 신상을 세우고 모든 사람들에게 그 앞에 절하라는 명령을 내렸을 때의 상황을 다룹니다. 여기서 갈대아 사람들은 당시 바벨론 제국의 지배 계층에 속한 자들로, 유다에서 포로로 잡혀온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을 고발합니다. 이 상황은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이 하나님께만 충성하려고 하는 믿음을 지키기 위해 겪는 시련이자, 그들의 신앙이 시험받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권능과 보호하심을 드러내며 믿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본문입니다.
9이 구절은 바벨론(현재의 이라크)의 왕 느부갓네살에게 그의 신하들이 경의를 표하는 장면을 나타냅니다. '만수무강 하옵소서'는 중국에서 유래한 인사말로, 여기서는 왕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경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당시 왕권에 대한 절대적 복종과 경의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야기를 전개하면서 신들이나 하나님을 섬기는 문제와 그에 대한 충성을 시험받는 상황 속에서도 인간 권력에 굴복하지 않고 믿음을 지키려 하는 다니엘과 친구들의 모습을 대비하여 강조합니다.
10이 구절은 다니엘서 3장에서 느부갓네살 왕이 세운 거대한 금 신상에게 모든 백성들이 절할 것을 명령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명령은 바벨론(현재의 이라크) 제국의 권위와 그 왕의 절대적 권력을 상징하며, 이를 통해 시민들의 충성과 경의를 강요하려 했습니다.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은 이러한 우상 숭배를 거부했으며, 이는 그들의 신앙과 하나님에 대한 충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이 이야기는 믿음으로 인해 직면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하나님께 끝까지 충성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11다니엘서 3장 11절은 바벨론(현재의 이라크) 왕 너부갓네살이 세운 금 신상에 절하지 않는 자는 모두 맹렬히 타는 풀무불 속에 던져 넣겠다는 명령을 설명하는 대목입니다. 이는 하나님께 신실한 다니엘의 세 친구,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가 그들의 믿음을 시험받게 되는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우상 숭배를 강요받는 어려움 속에서도 믿음 안에서 굳건하게 서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12이 구절은 다니엘서 3장에서 느부갓네살 왕의 명령을 어긴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세 유다 사람은 바벨론(현재의 이라크)으로 끌려와 관리로 임명되었으나, 그들이 섬기는 하나님 외에는 어떤 신에게도 절하지 않겠다는 굳건한 신앙을 유지했습니다. 그들의 충성된 신앙은 왕이 세운 금 신상에 절하지 않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것이 결국 그들을 풀무 불 속에 던져지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그러나 이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보호와 능력이 드러나며, 궁극적으로 믿음과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13느부갓네살 왕이 분노한 것은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가 그의 명령에 불복종했기 때문입니다. 당시 바벨론(현재의 이라크)의 왕인 느부갓네살은 금으로 만든 신상 앞에 절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나, 이 세 사람은 하나님의 법을 따르며 우상 숭배를 거부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그들의 신앙적 충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하나님의 권위를 인간의 권위보다 우선시하는 결단이었습니다. 이 사건은 믿음을 지키려는 성도의 용기와 그로 인한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14느부갓네살 왕은 바벨론(현재의 이라크) 제국의 강력한 통치자였으며, 자신이 세운 금 신상에 절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유다 출신의 인물로서, 느부갓네살의 명령을 거부하였습니다. 이는 그들이 하나님의 율법을 따라 우상을 섬기지 않겠다는 확고한 결단을 보여줍니다. 이 사건은 신앙적 충성심과 타협하지 않는 믿음을 상징하며,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보호와 구원의 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15이 구절은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이 신상을 만들어 놓고 모두에게 경배할 것을 명령하며,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맹렬히 타는 풀무불에 던져 넣겠다고 하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이때 다니엘의 세 친구인 사드락(하나냐), 메삭(미사엘), 아벳느고(아사랴)는 하나님의 신실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왕의 명령을 거부하게 됩니다. 이 구절은 인간 권력의 강압 앞에서도 하나님께 대한 신앙을 지키려는 용기와 결단력을 보여주며, 결국 하나님께서 그들 가운데 역사하심으로써 그들을 구원하신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는 우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최우선으로 섬겨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16사드락, 메삭, 아벳느고는 바벨론(현재의 이라크) 왕 느부갓네살이 금 신상에 절하라는 명령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굳게 지키며, 자신들이 섬기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구원하실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의 대답은 느부갓네살 왕의 권위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으며 신앙의 충성을 나타냅니다. 이 구절은 진정한 믿음을 가진 사람들이 어떤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타협하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용기를 보여줍니다.
17이 구절은 바벨론(현재의 이라크)의 느부갓네살 왕 앞에서 하나님의 강한 보호를 확신하는 다니엘의 세 친구,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가 한 말입니다. 이들은 금 신상에 절하지 않았기 때문에 형벌로 맹렬히 타는 풀무불에 던져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불 속에서 구원해주실 수 있는 전능하신 분임을 확신하며 믿음을 고백합니다. 또한 그들이 만약 하나님의 뜻 안에서 죽더라도 끝까지 신앙을 저버리지 않겠다는 결단을 보여줍니다. 이는 믿음의 진정한 힘과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굳은 믿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18다니엘 3:18에서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는 바벨론(현재의 이라크) 왕 느부갓네살이 만든 금 신상에 절하지 않겠다고 굳게 다짐합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자신들을 불타는 화덕에서 구해주실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으나, 그렇지 않더라도 우상 숭배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합니다. 이는 신앙의 순수성과 굳건한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장면으로, 하나님의 주권과 명령을 인간의 권력이나 두려움보다 우선시하는 믿음의 본보기가 됩니다.
다니엘 3장 해설
다니엘의 세 친구와 풀무 불의 용광로 사건
다니엘 3:8-18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