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에스겔 18:1-9
에스겔 > 18장 > 1-9절
에스겔 18:1-9 개역개정
또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너희가 이스라엘 땅에 관한 속담에 이르기를 아버지가 신 포도를 먹었으므로 그의 아들의 이가 시다고 함은 어찌 됨이냐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내가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하노니 너희가 이스라엘 가운데에서 다시는 이 속담을 쓰지 못하게 되리라
모든 영혼이 다 내게 속한지라 아버지의 영혼이 내게 속함 같이 그의 아들의 영혼도 내게 속하였나니 범죄하는 그 영혼은 죽으리라
사람이 만일 의로워서 정의와 공의를 따라 행하며
산 위에서 제물을 먹지 아니하며 이스라엘 족속의 우상에게 눈을 들지 아니하며 이웃의 아내를 더럽히지 아니하며 월경 중에 있는 여인을 가까이 하지 아니하며
사람을 학대하지 아니하며 빚진 자의 저당물을 돌려 주며 강탈하지 아니하며 주린 자에게 음식물을 주며 벗은 자에게 옷을 입히며
변리를 위하여 꾸어 주지 아니하며 이자를 받지 아니하며 스스로 손을 금하여 죄를 짓지 아니하며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진실하게 판단하며
내 율례를 따르며 내 규례를 지켜 진실하게 행할진대 그는 의인이니 반드시 살리라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에스겔 18:1-9 해설
1에스겔 18:1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주신 새로운 계시의 시작을 알리는 구절입니다. 이 장에서 하나님은 개인의 책임과 회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사람들은 종종 "아버지가 신 포도를 먹었으므로 아들들의 이가 시다"는 속담을 인용하며 자신들의 고난이 조상의 죄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하나님은 각 사람이 자신의 죄와 의로 인해 심판을 받는다고 말씀하십니다. 이를 통해 개인적인 회개와 믿음의 필요성을 명확히 하시며, 하나님의 공의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2에스겔 18:2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이전 세대의 잘못 때문에 현재 세대가 고통을 받는다는 속담을 반박하고 계십니다. 당시 사람들은 부모의 죄로 자식들이 벌을 받는다고 생각했지만, 하나님은 각자의 행동에 따라 심판받는 것이 옳다고 말씀하십니다. 즉, 개인의 책임과 정의를 강조하며 모든 사람이 자신의 행위에 대해 스스로 책임져야 함을 가르치십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하나님의 공정함과 정의로움을 보여줍니다.
3하나님께서는 에스겔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더 이상 특정 속담을 사용하지 말 것을 명령하시며, 각자가 자신의 죄와 책임을 지게 될 것임을 선포하십니다. 이는 공동체에서 자주 사용되던 "아버지가 신 포도를 먹음으로 아들들의 이가 시다"는 속담에 대한 경고로, 과거의 잘못으로 후손들이 고통받는다는 전통적 관념이 아닌, 개인의 도덕적 책임과 회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은 각자의 행동과 선택에 따라 심판하거나 용서하며, 이를 통해 개인 간의 정의와 공의가 실현될 것임을 선언하십니다.
4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모든 영혼의 주인이심을 밝히며, 각각의 영혼이 하나님께 속해 있음을 선언하고 있습니다. 이는 아버지와 아들이든 누구나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의미입니다. 동시에 죄를 지은 자는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개별적인 책임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각 개인은 자신의 행위에 따라 심판받으며, 하나님의 준엄한 공의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원칙은 인간의 도덕적 책임과 자유 의지를 중요시하는 성경 전체의 가르침과 일치합니다.
5에스겔 18:5에서 "사람이 만일 의로워서 정의와 공의를 따라 행하며"는 하나님께서는 사람 개개인의 행위와 그들의 윤리적 기준에 따라 심판하시겠다는 메시지를 강조합니다. 이는 개인의 책임을 중시하며 누구도 다른 사람의 죄 때문에 벌받지 않는다는 원칙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의로움"과 "정의와 공의"는 하나님의 뜻에 따르는 삶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는 신앙인들이 지켜야 할 중요한 가치들입니다. 본 구절은 각자가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고, 하나님께 의롭고 공정하게 살아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6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의롭다고 여기는 사람의 행동을 묘사합니다. 여기에서 의로운 사람은 산 위에서 제물을 먹지 않으며, 이는 당시 가나안(현재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역)의 산당에서 드려지는 우상 숭배를 가리킵니다. 또한, 이스라엘 족속의 우상에게 눈을 들지 않는다는 것은 우상 숭배를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웃의 아내를 더럽히지 않는다는 것은 간음을 피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마지막으로 월경 중에 있는 여인을 가까이하지 않는다는 것은 레위기 규례에 따른 성결함을 지키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모두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생활 방식이며 신자의 올바른 도덕적 삶을 강조합니다.
7에스겔 18:7은 하나님의 백성이 지켜야 할 도덕적 기준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에서 에스겔은 의로운 사람의 행위를 설명하며, 폭력을 행사하지 않고, 공정하게 빚을 갚고, 약탈하지 않으며 도움이 필요한 자에게 자비를 베푸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는 마태복음 25장에서 예수님께서 강조하신 "지극히 작은 자"에게 한 것이 바로 하나님께 한 것이라 말씀하셨던 내용과 일맥상통합니다. 따라서 신앙인은 사회적 약자와 어려움에 처한 이웃을 돌보며, 자신이 가진 물질적인 것을 나누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8에스겔 18:8은 하나님께서 의로운 사람의 삶을 묘사하시는 구절입니다. 이 말씀에서 의로운 사람은 변리나 이자를 취하지 않으며, 경제적인 거래에서 약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공정하게 행동합니다. 또한 그는 죄를 피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진실되고 올바르게 판단하며 살아갑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기대하시는 공의롭고 윤리적인 삶을 나타내며, 모든 사람에게 사랑과 정의로 대하는 자세를 강조합니다. 이렇게 사는 것이 하나님의 뜻에 따르는 길임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9이 구절은 하나님의 율례와 규례를 따르고 진실하게 행하는 사람이 의인으로 인정받아 영적으로 살게 될 것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에스겔 선지자는 이 말씀을 통하여 개인의 책임과 도덕적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 아래서 각자가 자신의 행위에 따라 상급이나 벌을 받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당시 이스라엘 백성이 죄악에서 돌이켜 하나님께로 돌아오도록 촉구하는 강한 메시지입니다.
에스겔 18장 해설
하나님의 공의와 책임을 가르치며 죄에 대해 책임질 것을 강조하는 에스겔
에스겔 18:1-9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