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back icon

공유하기

바로스 자손이 이천백칠십이 명이요 스바댜 자손이 삼백칠십이 명이요 아라 자손이 칠백칠십오 명이요 바핫모압 자손 곧 예수아와 요압 자손이 이천팔백십이 명이요 엘람 자손이 천이백오십사 명이요 삿두 자손이 구백사십오 명이요 삭개 자손이 칠백육십 명이요 바니 자손이 육백사십이 명이요 브배 자손이 육백이십삼 명이요 아스갓 자손이 천이백이십이 명이요 아도니감 자손이 육백육십육 명이요 비그왜 자손이 이천오십육 명이요 아딘 자손이 사백오십사 명이요 아델 자손 곧 히스기야 자손이 구십팔 명이요 베새 자손이 삼백이십삼 명이요 요라 자손이 백십이 명이요 하숨 자손이 이백이십삼 명이요 깁발 자손이 구십오 명이요

에스라 2:3-20

에스라 > 2장 > 3-20

에스라 2:3-20

에스라 2:3-20 개역개정

바로스 자손이 이천백칠십이 명이요

스바댜 자손이 삼백칠십이 명이요

아라 자손이 칠백칠십오 명이요

바핫모압 자손 곧 예수아와 요압 자손이 이천팔백십이 명이요

엘람 자손이 천이백오십사 명이요

삿두 자손이 구백사십오 명이요

삭개 자손이 칠백육십 명이요

바니 자손이 육백사십이 명이요

브배 자손이 육백이십삼 명이요

아스갓 자손이 천이백이십이 명이요

아도니감 자손이 육백육십육 명이요

비그왜 자손이 이천오십육 명이요

아딘 자손이 사백오십사 명이요

아델 자손 곧 히스기야 자손이 구십팔 명이요

베새 자손이 삼백이십삼 명이요

요라 자손이 백십이 명이요

하숨 자손이 이백이십삼 명이요

깁발 자손이 구십오 명이요

에스라 2:3-20 해설

3이 구절은 에스라서 2장에 나오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귀환 명단 중 일부를 말합니다. 당시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유다 민족(이스라엘)의 각 가문의 인원 수를 기록한 것으로, 바로스 가문에서 돌아온 사람의 수가 2,172명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약속하신 복구와 회복의 일환으로 하나님께 충성된 자들이 함께 귀환하였음을 의미하며, 각 가문별로 공동체를 재건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4에스라 2:4에서 언급된 스바댜 자손은 포로 생활을 마치고 바벨론(현재의 이라크)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유다 백성 중 한 무리입니다. 이 구체적인 숫자는 귀환자 명단에 나타난 정확한 인원을 기록하여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잊지 않으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귀환 기록들은 하나님의 충실성과 약속의 성취를 강조하며, 공동체가 다시 회복되는 과정에서 각 가문과 집단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줍니다.

5에스라 2:5는 바벨론 포로 생활 이후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면서 작성한 귀환자 명단 중 하나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아라'는 유다 지파의 한 가문의 족장으로, 그의 후손들이 총 775명이라는 것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약속대로 본토로 돌아와 재건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각 가문별 인구수를 구체적으로 열거하여 복귀 상황을 투명하게 기록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당시 귀환자들의 규모와 구성원을 알 수 있으며, 그들의 믿음과 결단을 보여줍니다.

6에스라 2:6은 바벨론 포로 생활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숫자를 기록한 구절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바핫모압 자손'은 한 가문을 의미하며, 그곳의 주된 대표 인물들은 예수아와 요압입니다. 이들이 이끄는 사람들의 수가 2,812명임을 언급하면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구체적인 수와 계보를 명확하게 기록하려는 성경의 목적이 드러납니다. 이는 공동체 재건 과정에서 각 가문의 중요성과 연대를 강조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이 구절은 포로 생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명단을 기록한 부분입니다. '엘람 자손'은 바벨론(현대의 이라크)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사람들 중 하나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천이백오십사 명이라는 숫자는 그들의 규모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들을 포함한 전체 귀환자 명단은 하나님께서 약속대로 그들을 다시 고향으로 인도하셨음을 증명하는 중요한 역사적 기록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공동체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구절입니다.

8이 구절은 유다 백성이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후 예루살렘과 유다에 다시 정착한 사람들의 계보를 기록한 부분입니다. 삿두 자손의 구백사십오 명은 이들 중 한 집안을 대표하는 인원 수를 나타내며, 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의 조상을 기억하시고 약속대로 그들을 다시 회복시키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이처럼 귀환자 명단의 세부적인 숫자는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그의 백성에 대한 지속적인 돌보심을 상징합니다.

9에스라 2장 9절에서는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들의 명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삭개 자손'은 특정 가문의 후손들을 가리키며, 그 수는 총 760명이라고 합니다. 이 구절은 귀환한 전체 백성들 사이에서 각 가문이 차지하는 인구 비율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당시 공동체의 조직과 규모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또한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그들이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재건을 시작할 수 있었다는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0이 구절은 포로 생활에서 돌아온 유다 백성 중 바니 자손의 수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에스라서 2장은 바벨론에서 예루살렘(현대 이스라엘)과 유다로 귀환한 사람들의 명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642명의 바니 자손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보호하셨으며, 그들이 공동체 회복의 중요한 일원이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명단과 숫자는 당시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섭리에 대한 증거가 됩니다.

11에스라 2:11에서는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의 목록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브배 자손은 그 가운데 한 가문으로, 그 인원수가 623명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구절은 잃어버린 땅으로 돌아와 예루살렘과 유다(현재의 이스라엘)에 다시 정착하기 위해 수고한 사람들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약속과 신실하심 속에서 포로생활을 끝내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과정 속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12아스갓 자손은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 중 하나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그 수가 천이백이십이 명으로 기록된 것은 그들의 귀환 규모를 구체적으로 보여줍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러한 목록들이 하나님의 약속과 그분의 성실함을 입증하는 증거이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잊지 않으시고 회복시키기를 원하셨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또한 공동체의 식별과 재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3이 구절은 포로 생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 중 아도니감 가문의 후손들의 숫자를 명시한 것입니다. 에스라는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유다 백성의 계보를 기록하며, 각 가문별로 인원을 세세하게 나열하고 있습니다. 아도니감 자손의 경우 그 수가 666명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는 그 당시 돌아온 인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하나님의 언약을 이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기록은 이들이 하나님의 계획 속에 가치있는 존재임을 확인시켜 주고 공동체의 일원을 재확인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14에스라서 2장은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명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비그왜 자손은 그들 중 한 집파(가문)로, 바벨론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예루살렘)으로 귀환한 사람들의 수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천오십육 명'이라는 구체적인 숫자는 이들이 하나님의 약속의 땅으로 돌아가는 여정에 있어 중요한 구성원임을 나타내며, 전체 귀환자의 숫자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기억하시고 그들의 회복을 이루시는 과정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15에스라 2:15에서 언급되는 "아딘 자손이 사백오십사 명이요"는 바벨론 포로 생활에서 예루살렘(현재의 이스라엘)으로 돌아온 사람들 중 아딘 가문의 후손 수를 나타냅니다. 이는 바벨론 포로기 이후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다시 그들의 땅으로 회복시키시는 과정 속에서 각 가문과 집안별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귀환했는지를 기록한 목록의 일부입니다. 이 구절을 통해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대로 그의 백성을 보호하고 돌보셨으며, 특정 집단들이 공동체 재건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6에스라 2:16은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의 족보와 관련된 상세 목록의 일부분입니다. 여기서 아델 자손과 히스기야 자손은 각각 다른 가문의 후손을 의미하며, 그 수가 구십팔 명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바벨론(현재의 이라크) 포로 생활 이후 예루살렘(현재의 이스라엘)의 복구를 위해 귀환한 사람들의 정확한 숫자와 소속을 문서화해 두려는 노력입니다. 이러한 기록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들이 다시 신앙 공동체 안에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17이 구절은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명단을 기록한 부분입니다. '베새 자손'은 유다 지파 또는 이스라엘 북부지방에 속한 한 가문으로, 총 323명의 후손들이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왔음을 나타냅니다. 이 명단은 당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숫자와 그들 각자의 가문을 세세히 기록하여 공동체의 재건과 정체성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대로 자신의 백성을 다시 고향으로 인도하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8이 구절은 포로 생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명단 중 하나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에스라 2장은 바벨론 포로기 이후 고레스 왕의 칙령으로 예루살렘(현재의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하기 위해 귀환한 사람들의 목록을 기록한 장입니다. 여기서 '요라 자손'이라는 특정 가족이 112명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의 역사 속에서 신실하게 일하셨음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공동체 속에서 각 개인과 가문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배울 수 있습니다.

19이 구절은 에스라서 2장 전체 문맥 속에서, 바벨론 포로 생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가문과 그 수를 기록한 부분입니다. '하숨 자손'은 자신들의 혈통을 따라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사람들로, 그 수가 223명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다시금 회복시키고자 하시는 계획의 일환으로, 각 가문이 포로 생활 이후에도 하나님의 언약 안에서 살아가도록 하시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구체적으로 명시된 숫자는 하나님의 섭리와 예정 가운데 있는 인원수임을 시사합니다.

20깁발 자손 95명의 기록은 에스라서 2장에 나오는 귀환민 명단의 일부입니다. 이 명단은 바벨론 포로 생활을 마치고 예루살렘과 유다로 돌아온 사람들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깁발(Gebal)은 오늘날 레바논의 주빌(Jubayl)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이 자신들의 뿌리를 따라 하나님이 약속하신 땅으로 돌아와 회복의 과정을 밟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의 언약 성취와 신실하심을 증언하는 동시에 공동체 재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easy bible

에스라 2장 해설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의 계보와 수효

에스라 2:3-20 관련 성경

에스라 개요
에스라 2장
에스라 2:3
에스라 2:4
에스라 2:5
에스라 2:6
에스라 2:7
에스라 2:8
에스라 2:9
에스라 2:10
에스라 2:11
에스라 2:12
에스라 2:13
에스라 2:14
에스라 2:15
에스라 2:16
에스라 2:17
에스라 2:18
에스라 2:19
에스라 2:20
에스라 2:1-2
에스라 2:1-70
에스라 2:3-20
에스라 2:36-39
에스라 2:36-54
에스라 2:43-58
에스라 2:59-60
에스라 2:59-62
에스라 2:61-62
에스라 2:64-65
에스라 2: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