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back icon

공유하기

당시에 시날 왕 아므라벨과 엘라살 왕 아리옥과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고임 왕 디달이 소돔 왕 베라와 고모라 왕 비르사와 아드마 왕 시납과 스보임 왕 세메벨과 벨라 곧 소알 왕과 싸우니라 이들이 다 싯딤 골짜기 곧 지금의 염해에 모였더라 이들이 십이 년 동안 그돌라오멜을 섬기다가 제십삼년에 배반한지라 제십사년에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이 나와서 아스드롯 가르나임에서 르바 족속을, 함에서 수스 족속을, 사웨 기랴다임에서 엠 족속을 치고 호리 족속을 그 산 세일에서 쳐서 광야 근방 엘바란까지 이르렀으며 그들이 돌이켜 엔미스밧 곧 가데스에 이르러 아말렉 족속의 온 땅과 하사손다말에 사는 아모리 족속을 친지라 소돔 왕과 고모라 왕과 아드마 왕과 스보임 왕과 벨라 곧 소알 왕이 나와서 싯딤 골짜기에서 그들과 전쟁을 하기 위하여 진을 쳤더니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고임 왕 디달과 시날 왕 아므라벨과 엘라살 왕 아리옥 네 왕이 곧 그 다섯 왕과 맞서니라 싯딤 골짜기에는 역청 구덩이가 많은지라 소돔 왕과 고모라 왕이 달아날 때에 그들이 거기 빠지고 그 나머지는 산으로 도망하매 네 왕이 소돔과 고모라의 모든 재물과 양식을 빼앗아 가고 소돔에 거주하는 아브람의 조카 롯도 사로잡고 그 재물까지 노략하여 갔더라

창세기 14:1-12

창세기 > 14장 > 1-12

창세기 14:1-12

창세기 14:1-12 개역개정

당시에 시날 왕 아므라벨과 엘라살 왕 아리옥과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고임 왕 디달이

소돔 왕 베라와 고모라 왕 비르사와 아드마 왕 시납과 스보임 왕 세메벨과 벨라 곧 소알 왕과 싸우니라

이들이 다 싯딤 골짜기 곧 지금의 염해에 모였더라

이들이 십이 년 동안 그돌라오멜을 섬기다가 제십삼년에 배반한지라

제십사년에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이 나와서 아스드롯 가르나임에서 르바 족속을, 함에서 수스 족속을, 사웨 기랴다임에서 엠 족속을 치고

호리 족속을 그 산 세일에서 쳐서 광야 근방 엘바란까지 이르렀으며

그들이 돌이켜 엔미스밧 곧 가데스에 이르러 아말렉 족속의 온 땅과 하사손다말에 사는 아모리 족속을 친지라

소돔 왕과 고모라 왕과 아드마 왕과 스보임 왕과 벨라 곧 소알 왕이 나와서 싯딤 골짜기에서 그들과 전쟁을 하기 위하여 진을 쳤더니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고임 왕 디달과 시날 왕 아므라벨과 엘라살 왕 아리옥 네 왕이 곧 그 다섯 왕과 맞서니라

싯딤 골짜기에는 역청 구덩이가 많은지라 소돔 왕과 고모라 왕이 달아날 때에 그들이 거기 빠지고 그 나머지는 산으로 도망하매

네 왕이 소돔과 고모라의 모든 재물과 양식을 빼앗아 가고

소돔에 거주하는 아브람의 조카 롯도 사로잡고 그 재물까지 노략하여 갔더라

창세기 14:1-12 해설

1이 구절은 창세기에서 아브라함 시대의 국제적인 갈등 상황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시날 왕 아므라벨, 엘라살 왕 아리옥, 엘람 왕 그돌라오멜, 고임 왕 디달은 연합하여 소돔과 고모라 등 다섯 성읍을 공격합니다. 이들의 동맹은 당시 중동 지역의 복잡한 권력 관계와 연합군의 체계를 보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전쟁 사건은 후에 아브라함이 조카 롯을 구출하는 큰 계기가 되며, 하나님의 백성인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특별한 사명과 보호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는 맥락 속에 있습니다.

2이 구절은 소돔 왕 베라와 고모라 왕 비르사를 비롯한 동맹군들이 하나의 전쟁에 동참하게 된 상황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고대 가나안(현재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활동하던 도시 국가의 통치자들로, 당시 메소포타미아(현재의 이라크) 지역의 군주들과 전쟁을 벌이고 있었습니다. 이 구절은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이 그의 조카 롯을 구출하기 위해 참여하게 되는 사건으로 이어지는데, 여기서 하나님의 도우심과 신실함이 드러납니다.

3창세기 14:3에서는 여러 왕들이 모여 전쟁을 준비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모인 곳은 '싯딤 골짜기'로, 현재의 염해(소금 바다)로 알려져 있는 사해(Dead Sea)를 의미합니다. 이 구절은 고대의 지리적 배경과 더불어 당시 상황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고대 사람들이 이 지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성경 이야기의 흐름과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돕습니다.

4이 구절은 소돔과 고모라를 포함한 다섯 왕들이 엘람 왕 그돌라오멜을 12년 동안 섬기다가 13년에 반역한 상황을 묘사합니다. 여기서 그돌라오멜은 당시 강력한 세력을 가진 왕으로, 주변의 여러 도시 국가들을 지배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압제에 반발하여 다섯 왕들은 연합하여 그돌라오멜에게 도전하였고, 이는 이후 아브람(아브라함)이 조카 롯을 구출하는 사건으로 이어집니다. 이 이야기는 하나님의 계획과 개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5이 구절은 그돌라오멜 왕과 그의 동맹군들이 여러 지역의 족속들을 침략하고 정복하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아스드롯 가르나임에서는 르바 족속을, 함에서는 수스 족속을, 사웨 기랴다임에서는 엠 족속을 공격했습니다. 이 사건은 고대 중동의 역사적 배경에서 일어난 전쟁으로서, 하나님의 백성인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의 이야기에 중요한 맥락을 제공합니다. 여기서 언급된 각 지명과 민족들은 오늘날 우리가 익숙하지 않은 이름이지만 고대 근동 지역의 특정 장소와 인물들로 볼 수 있습니다. 이로써 본문은 하나님께서 역사 속에서 자신의 계획과 섭리를 이루어 나가심을 드러냅니다.

6이 구절은 아브라함의 조카 롯을 구출하기 위해 아브라함이 싸운 전쟁의 한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호리 족속은 당시 가나안 땅에 거주하던 민족 중 하나로, 그들의 거처인 세일 산(현재의 에돔 지역)을 공격받은 장면입니다. 엘바란은 광야 근처의 특정 지역으로, 이번 정복 활동이 여러 지리적 경계를 넘어 포괄적인 범위에서 이루어졌음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아브라함과 그의 일행의 용맹성과 신앙적 승리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7이 구절은 구약 성경 창세기에서 아브라함의 이야기에 나오는 부분으로, 특정 전쟁 상황을 묘사합니다. 여기서 '그들'은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그의 동맹군을 가리키며, 그들이 엔미스밧(현재의 가데스)으로 돌아가 아말렉 족속과 하사손다말에 거주하는 아모리 족속을 공격한 사건을 다룹니다. 이 전쟁은 비단 정치적 갈등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가 담긴 사건으로 이해되며, 후에 아브라함의 조카 롯이 그로 인해 끌려가고 그것이 다시 아브라함의 개입을 불러오는 계기가 됩니다. 이 구절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역사 속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인간 역사 속에 직접 개입하시며 자신의 뜻을 이루어가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8이 구절은 아브라함의 조카 롯이 거주하던 소돔과 그 주변 도시들이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그의 연합군에 맞서기 위해 전쟁을 준비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소돔, 고모라, 아드마, 스보임, 벨라(소알) 등이 각각의 왕국을 대표하며 싯딤 골짜기(사해 근처)에서 진영을 치고 싸움을 대비합니다. 이 사건은 이후 롯이 포로로 잡히고 아브라함이 이를 구출하기 위해 나서는 중요한 배경입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은 하나님의 선택된 사람인 아브라함과 그의 믿음에 따른 행동들을 돋보이게 합니다.

9이 구절은 매우 중요한 역사적 배경을 제공합니다. 엘람 왕 그돌라오멜(Chedorlaomer), 고임 왕 디달(Tidal), 시날(Sumer) 왕 아므라벨(Amraphel), 엘라살(Ellasar) 왕 아리옥(Arioch) 네 명의 왕이 함께 연합하여 싸우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다른 다섯 명의 왕들, 즉 소돔(Sodom)과 고모라(Gomorrah)를 포함한 도시 국가들의 동맹과 전쟁을 벌인 것입니다. 이 사건은 당시 고대 근동 지역에서 일어난 중요한 군사적 충돌 중 하나로,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이 조카 롯을 구출하기 위해 개입하게 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됩니다. 따라서 이 구절은 창세기의 내러티브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의무와 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10창세기 14:10에서는 소돔과 고모라의 왕들이 키다르라오멜 왕과 그의 동맹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도망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싯딤 골짜기(현재의 사해 근처)에 있는 많은 역청 구덩이(천연 아스팔트나 타르 같은 끈적한 물질이 모인 곳)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이는 인간적인 지혜나 노력으로는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 사건은 이후에 아브람(아브라함)이 로트를 구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됩니다.

11이 구절은 소돔과 고모라가 전쟁에서 패하여 재물과 식량을 빼앗기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때 아브람(아브라함)의 조카인 롯도 함께 포로로 잡혀갔습니다. 이는 아브람이 신앙적 결단을 통해 롯을 구출해내는 계기가 되며,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권능과 약속의 성취를 드러내는 중요한 사건으로 이어집니다. 이 이야기 배경에는 지역의 여러 왕들 간의 전투와 갈등이 있었으며, 현대적으로는 여전히 그 지명인 소돔(Sodom)과 고모라(Gomorrah) 지역에 대한 이야기가 내려오고 있습니다.

12이 구절은 아브람의 조카 롯이 살고 있던 소돔(현재의 사해 남쪽 지역으로 추정)이 전쟁에서 패배하고 롯과 그의 재물까지 적군에게 사로잡혀 노략된 상황을 묘사합니다. 이는 이후 아브람이 친족인 롯을 구출하기 위해 용기와 결단력 있는 행동을 취하게 되는 중요한 배경입니다. 이를 통해 믿음의 조상 아브람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가족을 지키기 위해 나섰다는 모습을 보여주며, 나아가 하나님의 보호와 인도하심을 신뢰하는 믿음에 대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easy bible

창세기 14장 해설

아브람이 롯을 구출하고 멜기세덱을 만나다

창세기 14:1-12 관련 성경

창세기 개요
창세기 14장
창세기 14:1
창세기 14:2
창세기 14:3
창세기 14:4
창세기 14:5
창세기 14:6
창세기 14:7
창세기 14:8
창세기 14:9
창세기 14:10
창세기 14:11
창세기 14:12
창세기 14:1-2
창세기 14:1-4
창세기 14:1-12
창세기 14:1-14
창세기 14:1-16
창세기 14:1-24
창세기 14:8-10
창세기 14:11-12
창세기 14:11-16
창세기 14:12-16
창세기 14:13-16
창세기 14:14-15
창세기 14:14-16
창세기 14:14-20
창세기 14:14-24
창세기 14:17-18
창세기 14:17-20
창세기 14:17-23
창세기 14:17-24
창세기 14:17-25
창세기 14:18-19
창세기 14:18-20
창세기 14:18-22
창세기 14:19-20
창세기 14:20-24
창세기 14:21-23
창세기 14:21-24
창세기 14:22-23
창세기 14:22-24
창세기 14:2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