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창세기 30:14-24
창세기 > 30장 > 14-24절
창세기 30:14-24 개역개정
밀 거둘 때 르우벤이 나가서 들에서 합환채를 얻어 그의 어머니 레아에게 드렸더니 라헬이 레아에게 이르되 언니의 아들의 합환채를 청구하노라
레아가 그에게 이르되 네가 내 남편을 빼앗은 것이 작은 일이냐 그런데 네가 내 아들의 합환채도 빼앗고자 하느냐 라헬이 이르되 그러면 언니의 아들의 합환채 대신에 오늘 밤에 내 남편이 언니와 동침하리라 하니라
저물 때에 야곱이 들에서 돌아오매 레아가 나와서 그를 영접하며 이르되 내게로 들어오라 내가 내 아들의 합환채로 당신을 샀노라 그 밤에 야곱이 그와 동침하였더라
하나님이 레아의 소원을 들으셨으므로 그가 임신하여 다섯째 아들을 야곱에게 낳은지라
레아가 이르되 내가 내 시녀를 내 남편에게 주었으므로 하나님이 내게 그 값을 주셨다 하고 그의 이름을 잇사갈이라 하였으며
레아가 다시 임신하여 여섯째 아들을 야곱에게 낳은지라
레아가 이르되 하나님이 내게 후한 선물을 주시도다 내가 남편에게 여섯 아들을 낳았으니 이제는 그가 나와 함께 살리라 하고 그의 이름을 스불론이라 하였으며
그 후에 그가 딸을 낳고 그의 이름을 디나라 하였더라
하나님이 라헬을 생각하신지라 하나님이 그의 소원을 들으시고 그의 태를 여셨으므로
그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고 이르되 하나님이 내 부끄러움을 씻으셨다 하고
그 이름을 요셉이라 하니 여호와는 다시 다른 아들을 내게 더하시기를 원하노라 하였더라
창세기 30:14-24 해설
14이 구절은 야곱의 아들 르우벤이 들에서 합환채(일명 '사랑의 사과'라고 불리는 식물)를 발견하여 어머니 레아에게 준 장면입니다. 라헬은 언니인 레아에게 이 합환채를 달라고 요청합니다. 이 사건은 야곱의 두 아내인 레아와 라헬 사이에서 일어났으며, 그들이 자녀를 가지기 위한 경쟁과 갈등을 보여줍니다. 합환채는 고대 근동 문화에서 다산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라헬이 이를 원한 것은 그녀가 자신도 아이를 갖고자 하는 열망을 드러낸 것입니다. 이 구절은 한 가정 내에서 복잡한 관계와 인간적인 갈망을 잘 보여줍니다.
15레아와 라헬은 야곱의 아내들로, 레아는 언니이고 라헬은 동생입니다. 본문에서 레아가 합환채(사랑초)를 요구하는 라헬에게 분노를 표출하는 장면이 그려집니다. 당시 합환채는 다산과 사랑을 기원하기 위해 쓰이던 식물이었으며, 이를 통해 자녀를 낳기를 희망했습니다. 레아는 이미 야곱의 사랑을 빼앗긴 것에 비통해하며, 이제 아들의 합환채까지 잃고 싶지 않았습니다. 반면 라헬은 아이를 갖고자 하는 간절함 때문에 언니의 요구를 수락하며 남편 야곱과 함께 밤을 보내도록 약속합니다. 이 구절은 인간 관계 속에서 가족 내 갈등과 소망을 보여주는 동시에 하나님의 섭리를 암시합니다.
16이 구절은 레아와 라헬 사이의 치열한 자녀 경쟁과 그로 인한 갈등을 보여줍니다. 레아는 아들 르우벤이 가져다준 합환채(불임 치료에 사용한다고 여겨진 식물)를 동생 라헬에게 주고 대신 남편 야곱과의 시간을 확보하였습니다. 이 사건은 인간의 연약함과 가정 내 갈등을 드러내며, 또한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각자의 위치와 역할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인간사의 복잡함 속에서도 하나님의 역사가 진행됨을 깨닫게 됩니다.
17하나님께서 레아의 기도를 들으심으로 그녀는 임신하여 다섯째 아들인 잇사갈을 야곱에게 낳았습니다. 이는 하나님이 레아의 고난과 소원을 기억하시고 그녀에게 자녀를 주시는 축복을 나타냅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섭리와 응답, 그리고 그분의 신실하심을 보여줍니다.
18레아는 자신이 시녀를 남편 야곱에게 주어 자식을 얻게 된 것을 하나님의 보답으로 여겼습니다. 이로 인해 태어난 아들의 이름을 잇사갈이라 지었는데, 이는 '값' 혹은 '상'이라는 뜻입니다. 이 사건은 야곱의 여러 아내와 시녀들 사이의 경쟁과 복잡한 가족사를 반영하며,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갈등과 해결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런 배경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신실하게 약속을 이루어 가심을 알 수 있습니다.
19이 구절은 레아가 야곱에게 여섯째 아들을 낳았다는 것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레아의 기도를 들으시고 축복하신 결과로, 레아는 아들을 통해 남편 야곱의 사랑을 더욱 받고자 했습니다. 또한 이 여섯째 아들인 스불론은 나중에 이스라엘 열두 지파 중 한 지파의 조상이 되며, 이는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에 의한 일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계획이 사람들의 삶 속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20레아는 하나님이 자신에게 후한 선물을 주셨다고 감사하며 남편 야곱과의 관계에서 인정받고 사랑받기를 기대합니다. 여섯째 아들을 낳은 레아는 그 아들의 이름을 스불론이라 지으며 "함께 거하다", "동거하다"라는 뜻으로, 이제 야곱이 그녀와 함께 살고 머무를 것이라는 소망을 표현합니다. 이 구절은 레아가 하나님께 받은 축복을 통해 자신의 가정 내 위치와 남편과의 관계에 대한 기대를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21이 구절은 야곱과 레아의 또 다른 자녀인 딸 디나의 출생을 언급합니다. 야곱은 레아와 라헬 두 아내와 그들의 여종들로부터 여러 자녀를 얻었는데, 디나는 그의 유일한 딸로 기록됩니다. 당시 사회에서는 아들이 주로 강조되었지만 성경은 중요한 사건들을 통해 딸들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이어질 장에서는 디나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그녀의 이야기는 이후에 형제들의 행동과 이스라엘 민족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22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라헬의 간절한 소원을 들으시고 그녀에게 자녀를 가질 수 있는 은혜를 베푸셨음을 보여줍니다. 라헬은 야곱의 사랑을 받았지만 오랫동안 자녀가 없었기에 깊은 고통과 비애 속에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라헬의 아픔을 아시고 그녀를 기억하셔서 마침내 요셉이라는 아들을 허락해 주십니다. 이 사건은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인간의 기도를 들으시는 긍휼하신 모습을 강조하며, 우리의 고난 중에도 하나님이 함께 하신다는 희망을 줍니다.
23이 구절은 라헬이 오랜 불임 끝에 요셉을 낳았을 때 한 말입니다. 당시 사회에서 여성의 출산 능력은 가문의 명예와 관련이 깊었기에, 자녀를 갖지 못하는 것은 큰 부끄러움으로 여겨졌습니다. 따라서 라헬은 아들을 낳음으로써 하나님께서 자신의 부끄러움을 없애 주셨다고 고백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인정하고 감사드린 것입니다. 이로써 라헬의 신앙과 하나님의 역사하심이 잘 드러납니다.
24"그 이름을 요셉이라 하니 여호와는 다시 다른 아들을 내게 더하시기를 원하노라 하였더라"는 구절은 야곱의 아내 라헬이 첫 아들 요셉을 낳고 기쁨과 소망을 담아 하나님께 더 많은 자녀를 간구하는 장면입니다. '요셉'이라는 이름은 "하나님이 더하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라헬의 간절한 기도와 기대를 반영합니다. 라헬은 오랜 불임의 고통 끝에 요셉을 얻었고, 이 순간은 그녀에게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와 축복으로 인식되었습니다.
창세기 30장 해설
레아와 라헬의 출산 경쟁과 야곱의 튼튼한 가축 번식
창세기 30:14-24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