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예레미야 31:23-40
예레미야 > 31장 > 23-40절
예레미야 31:23-40 개역개정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내가 그 사로잡힌 자를 돌아오게 할 때에 그들이 유다 땅과 그 성읍들에서 다시 이 말을 쓰리니 곧 의로운 처소여, 거룩한 산이여, 여호와께서 네게 복 주시기를 원하노라 할 것이며
유다와 그 모든 성읍의 농부와 양 떼를 인도하는 자가 거기에 함께 살리니
이는 내가 그 피곤한 심령을 상쾌하게 하며 모든 연약한 심령을 만족하게 하였음이라 하시기로
내가 깨어 보니 내 잠이 달았더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내가 사람의 씨와 짐승의 씨를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뿌릴 날이 이르리니
깨어서 그들을 뿌리 뽑으며 무너뜨리며 전복하며 멸망시키며 괴롭게 하던 것과 같이 내가 깨어서 그들을 세우며 심으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 때에 그들이 말하기를 다시는 아버지가 신 포도를 먹었으므로 아들들의 이가 시다 하지 아니하겠고
신 포도를 먹는 자마다 그의 이가 신 것 같이 누구나 자기의 죄악으로 말미암아 죽으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
이 언약은 내가 그들의 조상들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맺은 것과 같지 아니할 것은 내가 그들의 남편이 되었어도 그들이 내 언약을 깨뜨렸음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러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들이 다시는 각기 이웃과 형제를 가르쳐 이르기를 너는 여호와를 알라 하지 아니하리니 이는 작은 자로부터 큰 자까지 다 나를 알기 때문이라 내가 그들의 악행을 사하고 다시는 그 죄를 기억하지 아니하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셨느니라 그는 해를 낮의 빛으로 주셨고 달과 별들을 밤의 빛으로 정하였고 바다를 뒤흔들어 그 파도로 소리치게 하나니 그의 이름은 만군의 여호와니라
이 법도가 내 앞에서 폐할진대 이스라엘 자손도 내 앞에서 끊어져 영원히 나라가 되지 못하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위에 있는 하늘을 측량할 수 있으며 밑에 있는 땅의 기초를 탐지할 수 있다면 내가 이스라엘 자손이 행한 모든 일로 말미암아 그들을 다 버리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이 성은 하나넬 망대로부터 모퉁이 문에 이르기까지 여호와를 위하여 건축될 것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측량줄이 곧게 가렙 언덕 밑에 이르고 고아로 돌아
시체와 재의 모든 골짜기와 기드론 시내에 이르는 모든 고지 곧 동쪽 마문의 모퉁이에 이르기까지 여호와의 거룩한 곳이니라 영원히 다시는 뽑거나 전복하지 못할 것이니라
예레미야 31:23-40 해설
23이 구절은 예레미야 선지자를 통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약속의 말씀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포로 상태에서 해방되고 본국으로 돌아올 때, 그들은 유다 땅과 그 성읍들에서 다시 평안을 누리며 "의로운 처소"와 "거룩한 산"으로 여호와께서 복 주시기를 기도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회복시키고 이전처럼 번영하고 거룩하게 만들겠다는 확신을 담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구원과 회복의 약속을 상기시키며, 신실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믿고 의지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24이 구절은 하나님의 약속과 회복을 상징합니다. 예레미야를 통해 전해지는 이 메시지는 바벨론 포로기 이후 유다(현재의 이스라엘 남부 지방)와 그 성읍들이 다시 번성하고 평화롭게 될 것임을 나타냅니다. 농부들과 양 떼를 인도하는 자, 즉 일상 생활과 생계 활동을 영위하는 사람들이 함께 거주하게 된다는 것은 사회와 경제적 안정, 그리고 하나님의 축복 아래에서 자연스럽게 평화를 누리게 될 것임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돌보고 회복시키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5이 구절은 하나님의 회복과 위로의 약속을 강조합니다.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백성이 겪고 있는 피로와 연약함을 하나님께서 어떻게 치유하고 새롭게 하시는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하나님은 그들이 지친 마음을 상쾌하게 하고, 힘없는 영혼들을 만족하게 하실 것이라고 선언하십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신실한 사랑과 자비를 통해 그의 백성을 회복시키시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모든 필요를 채워주신다는 따뜻한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입니다.
26이 구절은 예레미야가 하나님께서 주신 위로와 소망의 메시지를 받은 후 느낀 안도감을 보여줍니다. 예레미야는 많은 고난과 어려움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야 했기 때문에 마음의 평안을 얻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미래의 회복과 축복을 약속하셨을 때, 잠에서 깨어나면서 깊은 안식을 느끼게 된 것입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약속이 참으로 신뢰할 만하며, 그분의 위로가 우리에게 진정한 평안을 줄 수 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27예레미야 31:27 구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유다 민족에게 주시는 회복의 약속을 나타냅니다. 이 구절에서 "사람의 씨와 짐승의 씨를...뿌릴 날이 이르리니"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자비와 은혜가 임하여 사람과 동물 모두 번성하고 충만하게 될 미래를 예고합니다. 이는 과거에 범죄로 인해 징벌받았던 백성들이 하나님의 은혜로 새롭게 창조되고, 다시 번성할 기회를 얻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구절은 궁극적으로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과 창조 세계 전체를 새롭게 하시고 회복시키시는 약속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28하나님께서는 유다 백성에게 징벌을 내리시고 그들을 뿌리 뽑아내며 멸망시키고 괴롭게 하셨지만, 이제는 그들을 다시 세우고 심으실 것을 약속하십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징벌이 끝나고 회복의 시기가 올 것임을 예언하며,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향한 궁극적인 계획은 파괴가 아닌 회복과 새로움을 통한 구원의 은혜에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언제나 자신과의 언약을 지키시며, 그분의 의도는 항상 사랑과 긍휼에 기초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9이 구절은 예레미야가 전한 하나님의 약속으로, 당시 유다 사람들이 겪었던 고난과 심판에서 벗어나 새롭게 세워질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로운 통치를 예고합니다. "아버지가 신 포도를 먹었으므로 아들들의 이가 시다"는 속담은 조상의 죄로 인해 후손이 고통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언약을 통해 각자 자신의 행위에 따라 책임을 지도록 하실 것임을 약속하십니다. 이는 모든 사람이 개인적으로 하나님 앞에 서서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감당하게 될 시대가 도래할 것을 말하며, 그 때에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나 죄책도 공정하게 처리될 것입니다.
30이 구절은 책임과 판단에 대한 원칙을 강조합니다. 유다 백성은 종종 조상의 죄로 인해 고난을 겪고 있다고 느꼈지만, 하나님은 사람마다 자신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십니다. 여기서 "신 포도를 먹는 자"는 자신의 죄를 지은 개인을 의미하며, 그 결과로 "그의 이가 신 것 같이"라는 표현은 각자 자신의 죄로 인해 직접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가 개인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의미합니다.
31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현재의 이스라엘)과 유다 집에 새로운 언약을 맺겠다고 예언하신 것입니다. 이는 구약의 옛 언약을 대체할 새로운 언약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될 것을 예고합니다. 새 언약은 율법이 외적인 것이 아닌, 마음 속에 새겨질 것이며, 개인과 하나님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를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백성들은 죄사함을 받고 하나님의 법도와 계명을 더 깊이 이해하고 따르게 될 것입니다.
32하나님께서는 이 구절에서 옛 언약과 새로운 언약의 차이를 강조하십니다. 옛 언약은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이집트)에서 이끌어낼 때 맺었지만, 백성들은 순종하지 않고 그 언약을 깨뜨렸습니다. 하나님은 자신을 '남편'으로 비유하여 백성과의 관계를 설명하시며, 이전의 불순종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그들과 함께 하실 것임을 선언하십니다. 이는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과 은혜로 인한 새롭고 영속적인 관계를 예고하며, 결국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될 새 언약을 암시합니다.
33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언약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하십니다. 이 구절에서는 하나님이 율법을 외적으로만 지키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과 속에 기록하여 내면에서 순종하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나타냅니다. 이는 하나님이 직접 그들의 하나님이 되어,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할 것임을 뜻합니다. 또한 이것은 외형적인 의식이나 제도를 넘어선 내적 변화와 인격적인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신약 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으로 완성되는 새 언약의 전조로 이해됩니다.
34이 구절은 하나님의 새로운 언약에 관한 예언으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을 직접 알고 따르게 될 것을 강조합니다. 여기서 "작은 자로부터 큰 자까지"라는 표현은 사회적 지위나 연령에 관계없이 모두가 하나님을 알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그들의 죄를 사하고 다시는 그 죄를 기억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신 부분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무한한 용서와 자비를 나타내며, 인간의 회복과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과 사랑을 보여줍니다.
35이 구절은 하나님의 전능함과 창조의 능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낮에는 해를, 밤에는 달과 별들을 만드셔서 빛을 제공하셨으며, 바다와 그 파도까지도 그의 주권 아래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하나님이 온 우주와 모든 자연현상을 통제하시며 주관하시는 창조주 되심을 선포하는 말씀입니다. '만군의 여호와'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권능과 영광스러운 위엄을 드러내며,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보호하시고 인도하실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계심을 상기시킵니다.
36이 구절은 예레미야서를 통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경고와 동시에 약속을 주시는 내용입니다. 하나님의 법도가 즉, 하나님의 뜻과 계획이 폐해지지 않는다면 이스라엘 백성도 계속해서 그의 백성으로 남을 것이며,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이스라엘 자손에 대한 하나님의 영원한 언약과 변함없는 신실함을 강조하는 말씀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약속을 절대 변치 않으시며, 그들의 신실함 또한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7이 구절은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과 신실함을 강조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위에 있는 하늘을 측량하거나 땅의 기초를 탐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씀하시며, 마찬가지로 이스라엘 백성을 결코 버리지 않겠다는 약속을 의미합니다. 인간의 한계를 들어 하나님의 변치 않는 언약과 무조건적인 사랑을 확신시키는 내용입니다. 이는 당시 바벨론 포로 시기의 절망 가운데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큰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한 것입니다.
38이 구절에서 하나님은 예루살렘 성벽의 재건을 약속하십니다. 하나넬 망대와 모퉁이 문은 예루살렘 성벽의 특정 부분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완전한 회복과 재건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상징적 표현입니다. 이는 바벨론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이 다시 세워지고 하나님의 백성이 돌아올 것을 예언하는 내용으로, 여호와께서 주권적으로 그 일을 이루실 것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39이 구절은 예레미야가 하나님의 약속을 전하며, 예루살렘(현재의 예루살렘)의 회복과 확장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측량줄'은 도시의 경계를 정하는 도구로 사용되며, 이는 도시가 재건되고 다시 측량될 것임을 상징합니다. '가렙 언덕 밑'과 '고아'는 각각 구체적인 지명으로서 재건될 영토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그분의 백성을 위해 새롭게 하실 것과 다시 번영하게 하실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40이 구절은 예레미야서에서 예루살렘의 회복과 신성화를 약속하는 장면입니다. 여기서 언급된 시체와 재의 골짜기, 기드론 시내(키드론 계곡), 동쪽 마문 등은 당시에 부정하고 버림받은 장소로 여겨졌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곳을 거룩한 장소로 바꾸어 놓겠다고 선언하시며, 그 지역이 영원히 안정되고 파괴되지 않을 것임을 약속하십니다. 이는 하나님의 은혜와 신실함이 반영된 구절로,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영원한 보호와 축복을 상징합니다.
예레미야 31장 해설
이스라엘과 유다의 회복을 예언한 예레미야
예레미야 31:23-40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