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back icon

공유하기

하나님 여호와께서 박넝쿨을 예비하사 요나를 가리게 하셨으니 이는 그의 머리를 위하여 그늘이 지게 하며 그의 괴로움을 면하게 하려 하심이었더라 요나가 박넝쿨로 말미암아 크게 기뻐하였더니 하나님이 벌레를 예비하사 이튿날 새벽에 그 박넝쿨을 갉아먹게 하시매 시드니라 해가 뜰 때에 하나님이 뜨거운 동풍을 예비하셨고 해는 요나의 머리에 쪼이매 요나가 혼미하여 스스로 죽기를 구하여 이르되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내게 나으니이다 하니라 하나님이 요나에게 이르시되 네가 이 박넝쿨로 말미암아 성내는 것이 어찌 옳으냐 하시니 그가 대답하되 내가 성내어 죽기까지 할지라도 옳으니이다 하니라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가 수고도 아니하였고 재배도 아니하였고 하룻밤에 났다가 하룻밤에 말라 버린 이 박넝쿨을 아꼈거든 하물며 이 큰 성읍 니느웨에는 좌우를 분변하지 못하는 자가 십이만여 명이요 가축도 많이 있나니 내가 어찌 아끼지 아니하겠느냐 하시니라

요나 4:6-11

요나 > 4장 > 6-11

요나 4:6-11

요나 4:6-11 개역개정

하나님 여호와께서 박넝쿨을 예비하사 요나를 가리게 하셨으니 이는 그의 머리를 위하여 그늘이 지게 하며 그의 괴로움을 면하게 하려 하심이었더라 요나가 박넝쿨로 말미암아 크게 기뻐하였더니

하나님이 벌레를 예비하사 이튿날 새벽에 그 박넝쿨을 갉아먹게 하시매 시드니라

해가 뜰 때에 하나님이 뜨거운 동풍을 예비하셨고 해는 요나의 머리에 쪼이매 요나가 혼미하여 스스로 죽기를 구하여 이르되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내게 나으니이다 하니라

하나님이 요나에게 이르시되 네가 이 박넝쿨로 말미암아 성내는 것이 어찌 옳으냐 하시니 그가 대답하되 내가 성내어 죽기까지 할지라도 옳으니이다 하니라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가 수고도 아니하였고 재배도 아니하였고 하룻밤에 났다가 하룻밤에 말라 버린 이 박넝쿨을 아꼈거든

하물며 이 큰 성읍 니느웨에는 좌우를 분변하지 못하는 자가 십이만여 명이요 가축도 많이 있나니 내가 어찌 아끼지 아니하겠느냐 하시니라

요나 4:6-11 해설

6하나님께서는 요나가 니느웨(현재의 이라크 모술) 성으로 가서 회개를 외치라는 명령을 내리셨습니다. 그 과정에서 요나는 자신의 불만과 좌절을 표현했지만, 하나님은 박넝쿨을 통해 요나의 괴로움을 덜어주십니다. 이는 하나님이 우리의 고통과 필요를 아시고 이해하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박넝쿨 이야기는 하나님의 위로와 자비가 단순히 물질적 혜택에 있지 않다는 교훈을 주며, 우리는 하나님의 뜻과 계획 속에서 더 큰 그림을 보아야 함을 상기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7하나님께서 벌레를 예비하셔서 이튿날 새벽에 박넝쿨을 갉아먹어 시들게 하셨다는 이 구절에서는 하나님이 자신의 의지로 자연 요소들을 통해 요나에게 교훈을 주시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이는 우리가 이해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계획이 존재함을 시사하며, 하나님의 뜻과 섭리에 순종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요나는 닌웨(니네베) 주민들에게 자비를 베푸신 하나님이 불만스러웠고, 박넝쿨의 시듦을 통해 인간의 연약함과 하나님의 무한한 지혜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8이 구절은 요나가 하나님께서 작물 벌레를 통해 그늘을 제공하던 박넝쿨을 시들게 하시자, 햇볕과 뜨거운 동풍으로 인해 심한 고통을 겪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당시 요나는 니느웨(현대의 모술, 이라크)가 멸망하지 않은 것에 분노하고 좌절감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가 고통 속에서 죽기를 구하는 장면은 그의 절망적인 마음 상태를 반영하며, 그것은 또한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에 대한 깊이 있는 교훈과 연관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이해를 초월한 신비로운 계획을 받아들이고 신뢰해야 함을 배울 수 있습니다.

9이 구절은 요나가 하나님께 박넝쿨의 시들음에 대해 분노하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요나에게 그 분노가 정당한지를 물으며 그의 마음을 시험하시고 교훈하십니다. 요나는 박넝쿨이라는 작은 것 하나의 상실에도 죽기까지 성내겠다고 답변합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은 그의 극진한 자비심과 아낌없는 사랑을 보여주시기를 원하셨습니다. 이는 우리가 보다 큰 그림을 보고 하나님의 계획과 자비를 신뢰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10이 구절에서 하나님은 요나의 좁은 시각을 지적하십니다. 요나는 니느웨(현재의 모술, 이라크)의 멸망을 바라며 하나님의 자비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하나님은 박넝쿨 비유를 통해 요나가 자신에게 아무런 공로도 없는 작은 생물도 아끼는 마음을 가졌음을 지적하며, 하물며 수많은 사람이 사는 큰 도시 니느웨를 아껴야 하는 것이 당연함을 강조하십니다. 이는 모든 생명과 회개의 가치를 존중하는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를 드러냅니다.

11니느웨(오늘날의 모술, 이라크)는 당시의 큰 성읍으로, 이 구절에서 하나님은 요나에게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을 강조하며 말씀하십니다. 니느웨는 회개할 기회를 가진 도시였고, 그 안에는 좌우를 분별하지 못하는 순진한 사람들, 특히 어린이들이 약 십이만 명이나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렇게 많은 사람들과 생명체들을 멸망시키는 대신 자비를 베풀어 그들을 구원하고자 하셨던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긍휼과 사랑이 얼마나 크고 무한한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easy bible

요나 4장 해설

언약과 자비: 요나의 불만과 하나님의 교육

요나 4:6-11 관련 성경

요나 개요
요나 4장
요나 4:6
요나 4:7
요나 4:8
요나 4:9
요나 4:10
요나 4:11
요나 4:1-2
요나 4:1-3
요나 4:1-4
요나 4:1-11
요나 4:2-4
요나 4:3-4
요나 4:4-11
요나 4:5-6
요나 4:5-10
요나 4:5-11
요나 4:6-7
요나 4:6-8
요나 4:6-10
요나 4:6-11
요나 4:8-9
요나 4:8-11
요나 4:9-11
요나 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