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여호수아 18:11-28
여호수아 > 18장 > 11-28절
여호수아 18:11-28 개역개정
베냐민 자손 지파를 위하여 그들의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그 제비 뽑은 땅의 경계는 유다 자손과 요셉 자손의 중간이라
그들의 북방 경계는 요단에서부터 여리고 북쪽으로 올라가서 서쪽 산지를 넘어서 또 올라가서 벧아웬 황무지에 이르며
또 그 경계가 거기서부터 루스로 나아가서 루스 남쪽에 이르나니 루스는 곧 벧엘이며 또 그 경계가 아다롯 앗달로 내려가서 아래 벧호론 남쪽 산 곁으로 지나고
벧호론 앞 남쪽 산에서부터 서쪽으로 돌아 남쪽으로 향하여 유다 자손의 성읍 기럇 바알 곧 기럇 여아림에 이르러 끝이 되나니 이는 서쪽 경계며
남쪽 경계는 기럇 여아림 끝에서부터 서쪽으로 나아가 넵도아 물 근원에 이르고
르바임 골짜기 북쪽 힌놈의 아들 골짜기 앞에 있는 산 끝으로 내려가고 또 힌놈의 골짜기로 내려가서 여부스 남쪽에 이르러 엔 로겔로 내려가고
또 북쪽으로 접어들어 엔 세메스로 나아가서 아둠밈 비탈 맞은편 글릴롯으로 나아가서 르우벤 자손 보한의 돌까지 내려가고
북으로 아라바 맞은편을 지나 아라바로 내려가고
또 북으로 벧 호글라 곁을 지나서 요단 남쪽 끝에 있는 염해의 북쪽 해만이 그 경계의 끝이 되나니 이는 남쪽 경계며
동쪽 경계는 요단이니 이는 베냐민 자손이 그들의 가족대로 받은 기업의 사방 경계였더라
베냐민 자손의 지파가 그들의 가족대로 받은 성읍들은 여리고와 벧 호글라와 에멕 그시스와
벧 아라바와 스마라임과 벧엘과
아윔과 바라와 오브라와
그발 암모니와 오브니와 게바이니 열두 성읍과 또 그 마을들이며
기브온과 라마와 브에롯과
미스베와 그비라와 모사와
레겜과 이르브엘과 다랄라와
셀라와 엘렙과 여부스 곧 예루살렘과 기부앗과 기럇이니 열네 성읍이요 또 그 마을들이라 이는 베냐민 자손이 그들의 가족대로 받은 기업이었더라
여호수아 18:11-28 해설
11이 구절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약속의 땅 가나안에 정착할 때, 각 지파가 받을 땅을 제비뽑기로 나누는 과정에서 베냐민 지파가 받은 땅의 위치를 설명합니다. 베냐민 지파는 유다 지파와 요셉 자손(에브라임과 므낫세)의 중간에 해당하는 지역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 위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으로 후일 예루살렘이 속한 중요한 지역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모든 일을 공평하게 분배하고 각 지파에게 그들의 몫을 정해 주셨음을 보여줍니다.
12이 구절에서 언급된 내용은 가나안 땅의 지파 분배 과정에서 베냐민 지파의 경계에 대한 묘사입니다. 요단 강(요르단 강)을 기준으로 해서 여리고 북쪽을 따라 서쪽으로 산지를 넘고 벧아웬 황무지(황량한 들)를 포함하는 구역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구체적인 경계선들은 당시 이스라엘 각 지파가 분배받은 가나안 땅의 영역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그들의 삶의 터전을 규정짓고 하나님의 약속이 실현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13이 구절은 나뉘어진 이스라엘 지파들 중 베냐민 지파의 땅 경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루스는 후에 벧엘(베델)로 불리게 되었으며, 영적으로 중요한 장소가 됩니다. 아다롯 앗달과 아래 벧호론 등의 지명은 지금의 팔레스타인 지역에 위치한 고대 도시들입니다. 이러한 상세한 경계 설명을 통해 하나님께서 각 지파에게 약속하신 땅을 구체적으로 분배하셨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가 정교하고 질서 있게 이루어짐을 보여줍니다.
14이 구절은 이스라엘 자손이 가나안 땅을 나누어 분배하는 과정에서 베냐민 지파의 영역을 설명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벧호론"은 오늘날 팔레스타인 지역에 해당하며, "기럇 바알" (현재는 기럇 여아림)은 유다 지파의 성읍으로 언급됩니다. 여기에 언급된 경계는 베냐민 지파와 유다 지파 사이의 경계를 나타내며, 남쪽 산 인근에서 서쪽으로 돌아가는 것을 묘사하여 실제적인 땅의 구획을 정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런 경계 설정은 각 지파가 공평하게 자신들의 땅을 분배받고 그 안에서 하나님의 법과 규례를 따르며 살아가야 함을 강조합니다.
15이 구절은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땅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베냐민 지파의 경계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기럇 여아림(지금의 아부 고슈)에서 시작하여 넵도아 샘까지 서쪽으로 이어지는 남쪽 경계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이 자세한 묘사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땅의 정확한 범위를 이해하게 하고, 이를 통해 하나님의 약속과 그 성취를 증명하며 신실함을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16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지파들에게 땅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베냐민 지파의 경계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언급된 지명들은 현대의 예루살렘 주변 지역을 가리키며, '르바임 골짜기', '힌놈의 아들 골짜기', '여부스' 등이 그 예입니다. 특히, 여부스는 고대 여부스 사람들의 성읍으로 나중에 다윗 왕에 의해 정복되어 예루살렘이 되었고(현재도 사용되는 명칭), 엔 로겔은 예루살렘 부근에 위치한 샘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경계 설명은 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이해를 통해 하나님의 약속된 땅 분배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17여호수아 18:17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땅을 분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구절 중 하나입니다. 이 구절에서 등장하는 지명들은 오늘날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대략적으로 현재의 예루살렘 인근 지역으로 여겨집니다. "엔 세메스"는 '해의 샘'이라는 뜻으로, 물이 있는 장소임을 암시합니다. "아둠밈 비탈"과 "글릴롯"은 아마도 지형적 특징이나 특정 지역을 가리킵니다. "르우벤 자손 보한의 돌"은 르우벤 지파와 관련된 표석 또는 경계 표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구절 전체는 주어진 땅의 경계를 명확히 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을 체계적으로 분배하고자 하는 의도를 나타냅니다.
18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여호수아의 지도 아래 가나안 땅을 분배받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북으로 아라바 맞은편을 지나 아라바로 내려가고"라는 부분은 특정 경계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아라바'는 요단 강 서쪽과 동쪽의 넓은 골짜기 지역을 의미하며, 이 지역들은 오늘날에도 그런 지리적 명칭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강조되는 점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이 구체적으로 어떤 경계를 가지며, 그 땅이 매우 세밀하게 분배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약속과 충실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백성들 간의 공정한 분배를 보장하고자 합니다.
19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지파들에게 땅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특정 지경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벧 호글라는 현재 팔레스타인의 베이트 하글라(بيت حجلة)로 알려져 있으며, 염해는 사해(Dead Sea)를 가리킵니다. 이 구절은 특히 중심지 위치를 명확히 하여 지리적 경계선을 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남쪽 경계를 언급하며, 이는 나중에 땅의 소유권과 관련된 많은 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정확한 구분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20동쪽 경계인 요단 강은 이스라엘 백성의 땅 분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여호수아 18장에서 베냐민 자손이 그들의 기업을 분배받는 과정이 설명됩니다. 이 구절은 베냐민 지파가 어느 지역까지 차지했는지 명확히하고 있으며, 이는 하나님께서 각 지파에게 주신 기업의 경계를 존중하며 따르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베냐민 자손에게 할당된 이 지역은 후에 이스라엘 역사와 신앙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21이 구절은 베냐민 지파가 분배받은 땅과 성읍들에 대한 내용을 포함합니다. 베냐민 지파는 여리고와 벧 호글라, 에멕 그시스를 자신들의 영토로 받았습니다. 여리고는 요단강 서쪽에 위치한 중요한 성읍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을 정복할 때 첫 번째로 점령한 도시입니다. 벧 호글라는 예루살렘 근처의 한 마을이며, 에멕 그시스는 아마도 지금의 예루살렘 남서쪽에 위치한 지역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각 지파에게 적합하게 땅을 나누어 주신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22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베냐민 지파의 경계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벧 아라바, 스마라임, 벧엘 등의 지명은 모두 그 당시 중요한 성읍들이었으며, 오늘날의 요르단 계곡(벧 아라바), 스마리아(스마라임), 베이트인(벧엘)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명의 나열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을 각 지파에게 따라 정확히 분배하였음을 나타내며, 하나님의 신실함과 공평성을 강조합니다.
23이 구절은 여호수아서에서 이스라엘 자손들이 약속의 땅 가나안(현재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역)을 분배받는 과정에서 특정 지역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아윔, 바라, 오브라는 베냐민 지파에게 할당된 성읍들 중 일부입니다. 각 성읍들은 당시 가나안 땅에 있던 작은 마을이나 도시들을 의미하며, 이것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을 이스라엘 열두 지파에게 분배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의 약속이 실현되고 있음을 증거하며 그분의 신실함을 강조합니다.
24이 구절에서 열두 성읍과 그 마을들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후,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지파들에게 분배한 땅 중 베냐민 지파에게 할당된 지역의 일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발 암모니'와 '오브니' 그리고 '게바'는 모두 베냐민 지파가 차지한 성읍들이며, 각 도시와 그 주변의 마을들을 포함합니다. 이 배분은 하나님의 약속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그의 후손이 이 땅을 차지할 것이라고 약속하신 것을 성취하는 과정입니다.
25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지파 중 베냐민 지파에게 할당된 땅의 경계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기브온과 라마와 브에롯"은 모두 베냐민 지파가 차지한 도시들로, 현재의 팔레스타인 지역에 위치해 있습니다. 기브온(현재의 알지브)는 구약에서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이 많이 발생한 곳이며, 라마는 사무엘 선지자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고, 브에롯은 여기에 속한 작은 도시 중 하나로 유다족속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던 곳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약속하신 땅을 그들에게 나누어주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보여줍니다.
26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자손이 가나안 땅을 차지한 후 각 지파에게 땅을 나눠주는 과정에서 배분된 지역들을 나열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언급된 미스베, 그비라와 모사는 해당 지파가 맡게 된 영토 내의 중요한 도시들로, 각각의 위치와 역할에서 의미를 갖습니다. 이러한 배분은 하나님의 약속에 따른 것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정착하고 번영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27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땅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벤야민 지파에게 할당된 성읍들을 나열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레겜, 이르브엘, 다랄라는 각각 벤야민 지파가 차지하게 된 특정 지역을 나타내며, 이는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의 땅을 각 지파별로 나누는 중요한 과정의 일부입니다. 이러한 지명들은 오늘날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당시 사람들에게는 그들의 정체성과 유산이 걸려 있는 귀중한 정보였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순종하며 그들의 기업을 취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8여호수아 18:28은 이스라엘의 각 지파가 가나안 땅을 분배받는 장면 중 베냐민 지파가 받은 지역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나오는 '셀라', '엘렙', '여부스 곧 예루살렘', '기부앗', 그리고 '기럇'은 베냐민 자손이 분배받은 주요 도시들입니다. 언급된 도시는 현재로 치면 대부분 예루살렘과 그 주변 지역에 해당됩니다. 특히 여부스 곧 예루살렘(현재의 Jerusalem)은 이후 이스라엘 역사의 중심지가 될 중요한 도시입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계획과 인도하심 하에, 각각의 지파들이 정해진 기업을 받아 자리잡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호수아 18장 해설
일곱 지파에게 땅을 나눈 야호수아
여호수아 18:11-28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