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누가복음 2:21-38
누가복음 > 2장 > 21-38절
누가복음 2:21-38 개역개정
할례할 팔 일이 되매 그 이름을 예수라 하니 곧 잉태하기 전에 천사가 일컬은 바러라
모세의 법대로 정결예식의 날이 차매 아기를 데리고 예루살렘에 올라가니
이는 주의 율법에 쓴 바 첫 태에 처음 난 남자마다 주의 거룩한 자라 하리라 한 대로 아기를 주께 드리고
또 주의 율법에 말씀하신 대로 산비둘기 한 쌍이나 혹은 어린 집비둘기 둘로 제사하려 함이더라
예루살렘에 시므온이라 하는 사람이 있으니 이 사람은 의롭고 경건하여 이스라엘의 위로를 기다리는 자라 성령이 그 위에 계시더라
그가 주의 그리스도를 보기 전에는 죽지 아니하리라 하는 성령의 지시를 받았더니
성령의 감동으로 성전에 들어가매 마침 부모가 율법의 관례대로 행하고자 하여 그 아기 예수를 데리고 오는지라
시므온이 아기를 안고 하나님을 찬송하여 이르되
주재여 이제는 말씀하신 대로 종을 평안히 놓아 주시는도다
내 눈이 주의 구원을 보았사오니
이는 만민 앞에 예비하신 것이요
이방을 비추는 빛이요 주의 백성 이스라엘의 영광이니이다 하니
그의 부모가 그에 대한 말들을 놀랍게 여기더라
시므온이 그들에게 축복하고 그의 어머니 마리아에게 말하여 이르되 보라 이는 이스라엘 중 많은 사람을 패하거나 흥하게 하며 비방을 받는 표적이 되기 위하여 세움을 받았고
또 칼이 네 마음을 찌르듯 하리니 이는 여러 사람의 마음의 생각을 드러내려 함이니라 하더라
또 아셀 지파 바누엘의 딸 안나라 하는 선지자가 있어 나이가 매우 많았더라 그가 결혼한 후 일곱 해 동안 남편과 함께 살다가
과부가 되고 팔십사 세가 되었더라 이 사람이 성전을 떠나지 아니하고 주야로 금식하며 기도함으로 섬기더니
마침 이 때에 나아와서 하나님께 감사하고 예루살렘의 속량을 바라는 모든 사람에게 그에 대하여 말하니라
누가복음 2:21-38 해설
21이 구절은 예수님께서 태어난 지 팔 일이 되었을 때, 유대인의 관습에 따라 할례를 받으시고 '예수'라는 이름을 지은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장면은 예수님의 인성과 그 분의 율법 준수를 강조하며, 예수라는 이름이 잉태되기 전 천사 가브리엘에 의해 마리아에게 처음 알려진 바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의 계획과 약속이 성취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예수님께서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메시아로 오신 것을 의미합니다.
22이 구절은 예수님의 부모님인 요셉과 마리아가 아기 예수를 모세의 율법에 따라 정결예식을 위해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간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모세의 법, 즉 구약의 율법에서는 출산 후 40일이 지나면 아들을 낳은 여인은 성전에서 정결 의식을 행해야 했습니다(레위기 12:2-4 참조). 이는 그 당시 유대교의 관습을 따르는 것이며, 예수님도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세상에 오신 메시야로서 자신을 낮추고 겸손하게 인간의 법을 따르셨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이러한 사건을 통해 하나님께서 정하신 질서를 존중하는 가족으로서 요셉과 마리아의 신앙심도 드러나게 됩니다.
23이 구절은 예수님을 성전에서 헌아하는 사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첫 태에 처음 난 남자아이는 하나님의 소유로 거룩하게 여겨져야 한다는 출애굽기 13:2의 율법에 따라, 마리아와 요셉은 아기 예수님을 성전에 데리고 가서 헌신의식을 행합니다. 이는 예수님의 출생과 결절이 유대 율법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또한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인류 구원의 계획이 하나님께서 정하신 질서를 따르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24이 구절은 예수님의 부모님인 요셉과 마리아가 아기 예수를 성전에 데리고 가서 정결례를 행하고 규정된 제사를 드린 것을 말합니다. 산비둘기나 어린 집비둘기를 제물로 바치는 것은 레위기 12장 8절에 기록된 가난한 자들의 정결례 규정에 따라 이루어진 것입니다. 이는 요셉과 마리아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있었음을 시사하며, 그들이 율법을 존중하며 순종하는 경건한 유대인이었음을 보여줍니다.
25이 구절에서 시므온은 예루살렘에 살고 있는 거룩하고 경건한 인물로 소개됩니다. 그는 하나님의 약속인 이스라엘의 위로를 기다리고 있었으며, 이스라엘의 위로란 메시아의 오심을 의미합니다. 성령께서 그의 삶과 신앙 가운데 계셔서 그에게 특별한 인도와 깨달음을 주셨습니다. 이는 시므온이 하나님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의 의로운 삶을 통해 예수님의 탄생때까지 계속된 구약시대 믿음의 사람들의 모습을 강조합니다.
26이 구절은 시므온이 성령의 계시를 통해 그리스도를 보기 전에는 죽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받은 장면입니다. 나이가 많고 경건한 시므온은 이 약속을 믿고 기다리다가 결국 아기 예수님을 만나게 됩니다. 이는 하나님의 약속이 결코 헛되지 않으며, 그분의 계획과 섭리는 반드시 이루어짐을 보여줍니다. 또한, 예수님이 누가 보고서를 통해 구세주로서의 출현과 역사를 시작하신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27이 구절은 시므온이 성령의 인도를 받아 성전에 들어가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는 오랫동안 이스라엘의 위로를 기다려왔던 경건한 사람이었습니다. 마침 마리아와 요셉이 율법에 따라 예수님을 성전에 데리고 와 헌물하려고 할 때, 시므온은 그 아기 예수를 만나게 됩니다. 이는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 속에서 그의 오래된 약속이 이루어지는 순간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약속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사실과 성령의 인도가 우리의 삶 속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됩니다.
28이 구절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시므온이라는 경건한 노인이 아기 예수님을 처음 만난 장면을 묘사합니다.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 온 시므온은 하나님의 약속에 따라 메시아를 보기까지 죽지 않을 것이라는 계시를 받았고, 드디어 그 약속이 이루어졌음을 기뻐하며 하나님을 찬송합니다. 이 사건은 예수님의 출생과 초기 생애가 구약의 예언과 어떻게 일치하는지를 보여주며, 하나님께서 주신 사람들을 통해 이루어진 복음의 확실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9시므온이 아기 예수님을 만났을 때 하나님께 했던 감사의 기도입니다. 그는 성령의 계시로 죽기 전에 메시아를 볼 것이라는 약속을 받았고, 그 약속이 성취되었음을 깨닫고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올립니다. 이 구절은 시므온이 자신의 사명을 다했다는 평안을 느끼며 이제 죽음에 임할 준비가 되었음을 고백하는 장면으로,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과 신실함을 강조합니다.
30이 구절은 시므온이 아기 예수님을 보며 성령으로 인한 감동을 받아 말한 것입니다. 시므온은 오랫동안 메시아를 기다려 왔으며, 하나님께서 그가 죽기 전에 주의 구원을 보게 될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이 '주의 구원'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킵니다. 여기에서 시므온의 고백은 예수님이 전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구원의 실현임을 나타내며, 이는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큰 은혜와 사랑의 증거입니다.
31이 구절은 시므온이 아기 예수님을 보고 찬양하는 장면에서 나오는 말씀입니다. 여기서 '만민'은 모든 민족과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모든 인류에게 구원과 빛을 주시기 위해 계획하셨다는 뜻입니다. 즉, 예수님의 탄생은 유대인뿐만 아니라 이방인들까지 포함하여 전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 속에서 이루어진 일임을 나타냅니다.
32이 구절은 시므온이 아기 예수님을 성전에서 만났을 때 하나님께 감사하며 말한 예언의 일부입니다. "이방을 비추는 빛"은 예수님께서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모든 민족, 곧 유대인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구원의 빛을 가져오실 것임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스라엘의 영광"은 하나님의 약속과 구원의 계획이 이스라엘 백성에게서 성취됨으로써 그들이 특별한 축복과 영광의 자리에 놓임을 표현합니다. 따라서 이 말씀은 예수님의 사역과 역할이 전 인류에 걸쳐 있음을 선언하고 있습니다.
33이 구절은 아기 예수님이 성전에서 시므온과 안나에게 축복을 받은 후, 그 부모인 마리아와 요셉이 시므온의 말을 듣고 놀라움을 금치 못하는 장면입니다. 시므온은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께서 주실 구원을 보았다고 증거하며, 이를 통해 이방인들을 비추는 빛과 하나님 백성 이스라엘의 영광을 선포합니다. 마리아와 요셉은 아직 예수님의 사명과 하나님께서 이루실 일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였기에, 시므온의 말을 듣고 놀랄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계획이 인간적인 이해를 초월함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34시므온은 아기 예수님을 성전에서 만났을 때, 예수님의 사역과 그가 세상에 미칠 영향을 예언하고 있습니다. 그는 예수님이 많은 사람들에게 갈등과 논쟁의 대상이 될 것임을 언급하며, 이는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 필연적인 일임을 암시합니다. "패하거나 흥하게 하며"라는 표현은 예수님으로 인해 사람들이 나뉘고 자신들의 진정한 모습이 드러날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비방을 받는 표적"이라는 것은 그의 사역 동안 많은 오해와 반대에 직면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가 구원의 길로 인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을 암시합니다. 이 말씀은 결국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구속사역의 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35이 구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어린 시절을 다루며, 시므온이 마리아에게 예언한 부분입니다. 여기서 '칼이 네 마음을 찌르듯 하리니'라는 표현은 마리아가 아들 예수의 고난과 죽음을 지켜보아야 하는 심한 고통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이는 단순히 육체적인 아픔을 넘어서, 어머니로서의 깊은 슬픔과 영혼의 통렬함을 의미합니다. 또한, '여러 사람의 마음의 생각을 드러내려 함'이라는 부분은 예수님의 사역과 가르침이 사람들의 참된 본성과 동기를 폭로하고 밝히 드러낼 것임을 예언합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진리가 각인의 삶 속에서 살아 움직이며 작용하게 될 것을 암시하는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36누가복음 2:36은 예수님의 탄생 이후 성전에서 있었던 사건을 묘사하며, 그 중에서도 안나라는 이름의 선지자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안나는 아셀 지파 출신으로, 결혼 후 일곱 해 동안 남편과 함께 살았지만 그 이후로는 홀로 지내며 하나님을 섬겼습니다. 그녀는 나이가 많았고, 오랜 세월 동안 기도와 금식을 통해 경건한 삶을 살았습니다. 이 구절은 안나의 신앙 깊은 삶과 헌신, 그리고 그녀가 예수님의 탄생을 기도와 기다림으로 맞이한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37이 구절은 예수님의 탄생 이후 성전에서 만난 여선지자 안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안나는 결혼 후 일찍 과부가 되어 팔십사 세까지 되도록 성전을 떠나지 않고 주야로 금식하며 기도로 하나님을 섬겼습니다. 그녀의 헌신은 신앙의 깊이를 보여주며, 하나님께 드리는 삶의 모범을 제시합니다. 특히, 어려움과 역경 속에서도 신앙을 지키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38누가복음 2:38에서는 시므온과 한나라는 두 인물이 예수님의 탄생을 통해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었음을 알아보는 장면 중 한 부분입니다. 특히, 한나는 오랜 기간 성전을 떠나지 않고 금식하며 기도하던 여선지자였습니다. 이 구절에서 한나는 아기 예수를 보고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예루살렘(현재의 예루살렘)의 구원을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그분에 대하여 말하였습니다. 이는 예수님이 메시아로 오셔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원할 것을 믿고 고백하는 중요한 순간을 의미합니다.
누가복음 2장 해설
예수님의 탄생과 성장
누가복음 2:21-38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