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민수기 21:10-20
민수기 > 21장 > 10-20절
민수기 21:10-20 개역개정
이스라엘 자손이 그 곳을 떠나 오봇에 진을 쳤고
오봇을 떠나 모압 앞쪽 해 돋는 쪽 광야 이예아바림에 진을 쳤고
거기를 떠나 세렛 골짜기에 진을 쳤고
거기를 떠나 아모리인의 영토에서 흘러 나와서 광야에 이른 아르논 강 건너편에 진을 쳤으니 아르논은 모압과 아모리 사이에서 모압의 경계가 된 곳이라
이러므로 여호와의 전쟁기에 일렀으되 수바의 와헙과 아르논 골짜기와
모든 골짜기의 비탈은 아르 고을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모압의 경계에 닿았도다 하였더라
거기서 브엘에 이르니 브엘은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시기를 백성을 모으라 내가 그들에게 물을 주리라 하시던 우물이라
그 때에 이스라엘이 노래하여 이르되 우물물아 솟아나라 너희는 그것을 노래하라
이 우물은 지휘관들이 팠고 백성의 귀인들이 규와 지팡이로 판 것이로다 하였더라 그들은 광야에서 맛다나에 이르렀고
맛다나에서 나할리엘에 이르렀고 나할리엘에서 바못에 이르렀고
바못에서 모압 들에 있는 골짜기에 이르러 광야가 내려다 보이는 비스가 산 꼭대기에 이르렀더라
민수기 21:10-20 해설
10이스라엘 자손이 "그 곳"을 떠나 오봇에 진을 쳤다는 이 구절은, 그들이 광야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 아래 여행을 계속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이집트)에서 탈출한 이후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까지 여러 장소를 거치며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으로 나아갔습니다. 오봇은 그런 여정 중 하나의 장소로, 각 정착지마다 겪었던 성숙과 훈련의 과정들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더욱 깊게 경험하게 됩니다.
11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여정을 이어가는 과정 중 하나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오봇을 떠나 모압(현재 요르단) 동쪽 해 돋는 쪽, 즉 동쪽에 있는 광야인 이예아바림에 진을 친 상황을 설명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의 여정을 인도하시는 과정 중의 한 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 속에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기록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인도하시는 신실한 분임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12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 이후 광야를 지나가는 여정을 보여주는 구절입니다. "세렛 골짜기"는 오늘날의 아라비아 반도 남쪽에 위치한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인도를 받아 이동하며 광야 생활을 지속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이러한 이동 과정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직접 이끄신다는 점에서 중요한 신앙적 의미를 갖습니다. 자신의 힘과 지혜가 아닌, 하나님의 계획 아래 움직이는 삶의 성찰을 요합니다.
13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 후 광야에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있는 지리적 위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모리인은 고대 가나안 지방의 거주 민족 중 하나로, 이 구절에서는 그들이 살던 영토와 관련된 내용을 언급합니다. 아르논 강은 지금의 요르단에 위치한 강으로, 이 곳은 모압과 아모리인의 경계 역할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를 지나며 여러 율법과 지침을 따르는 가운데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여정을 계속해 나갔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하나님께서 그 백성을 어떻게 인도하셨는지와 그들의 신앙 여정에서 겪었던 어려움을 우리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4민수기 21장 14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기 전에 겪은 전투와 관련된 기록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여호와의 전쟁기"는 하나님의 명령과 인도하심에 따라 치러진 전쟁들의 기록을 의미하며, 이 구절에서는 수바와 와헙, 아르논 골짜기에 대한 참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신명기가 쓰여질 당시 사용된 고대 문서나 자료를 인용한 것으로 보이며, 여기서 아르논 골짜기는 오늘날 요르단 강 동쪽에 위치한 지역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그들의 여정을 이어갔음을 알 수 있습니다.
15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 후 가나안으로 향하는 여정 중 모압 지역을 지나갈 때의 지리적 상황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아르'는 현재 요르단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 지명으로, 이곳은 그 당시 모압(현재 요르단)의 영토였습니다. 이 구절은 모든 골짜기의 비탈이 아르 고을 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표현하며, 이는 그들이 걸어가는 길목과 해당 지역 주위의 자연 경관을 나타냅니다. 역사적 배경에서 볼 때 이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을 정복하기 이전에 겪었던 수많은 여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16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를 지나며 경험한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브엘'이라는 장소에서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모든 백성을 모으라고 명령하셨고, 그들에게 물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하십니다. 이는 광야에서의 하나님의 인도와 공급을 상징하는 중요한 순간으로, 물이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 요소임을 감안할 때 하나님의 돌보심과 신실함이 강조되는 부분입니다. 또한, 이 사건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순종을 통해 필요한 것이 공급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17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를 지나가던 중 하나님께서 주신 축복에 대한 감사와 기쁨을 노래하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그들은 새로운 물 공급처인 우물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그분의 지속적인 공급에 대한 찬양을 드립니다. "우물물아 솟아나라"는 단순히 물의 제공을 넘어, 하나님께서 제시한 생명의 근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하심에 감사를 표하며, 공동체 안에서 이러한 경험을 공유하며 더욱 굳건한 믿음을 다짐합니다.
18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여정을 이어가는 중, 지도자들이 우물을 파서 물을 얻은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물은 단순히 물을 공급하는 시설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인도하심 아래 그들이 필요한 자원을 얻게 되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닙니다. 또한, 지휘관들과 귀인들이 규와 지팡이로 직접 파면서 공동체의 중요한 역할자들 간의 협력이 강조됩니다. 마지막으로 '맛다나'라는 지역명은 그들의 여정 가운데 특정 장소를 기억하게 하며, 이는 하나님께서 가신 길마다 채워주시는 은혜와 공급에 대한 증거입니다.
19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이동한 경로를 기록한 내용 중 하나입니다. '맛다나', '나할리엘', '바못'은 그들이 이동한 장소들의 이름으로, 각각 특정 지역을 나타냅니다. 맛다나는 의미가 분명하지 않으나, 나할리엘은 "하나님의 골짜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못은 높은 곳이나 언덕을 의미합니다. 이스라엘 민족의 여정을 통해 하나님께서 인도하신 신실함과 보호를 볼 수 있으며, 우리의 삶에서도 하나님의 인도를 믿고 따르길 권고합니다.
20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방황하던 기간 동안의 여정을 설명합니다. 바못(Bamoth)과 모압(Moab) 들, 그리고 비스가(Pisgah) 산 꼭대기는 현재 요르단에 위치한 지명들로, 이곳들을 통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받아 약속의 땅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비스가 산 꼭대기는 모세가 하나님으로부터 가나안 땅을 바라볼 수 있게 허락받은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신앙적 여정에서 하늘의 섭리와 목표를 이루기 위한 끊임없는 믿음과 순종을 강조하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민수기 21장 해설
이스라엘 백성이 아모리 사람과 바산 왕 옥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놋뱀 사건을 경험하다
민수기 21:10-20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