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열왕기상 6:20-35
열왕기상 > 6장 > 20-35절
열왕기상 6:20-35 개역개정
그 내소의 안은 길이가 이십 규빗이요 너비가 이십 규빗이요 높이가 이십 규빗이라 정금으로 입혔고 백향목 제단에도 입혔더라
솔로몬이 정금으로 외소 안에 입히고 내소 앞에 금사슬로 건너지르고 내소를 금으로 입히고
온 성전을 금으로 입히기를 마치고 내소에 속한 제단의 전부를 금으로 입혔더라
내소 안에 감람나무로 두 그룹을 만들었는데 그 높이가 각각 십 규빗이라
한 그룹의 이쪽 날개도 다섯 규빗이요 저쪽 날개도 다섯 규빗이니 이쪽 날개 끝으로부터 저쪽 날개 끝까지 십 규빗이며
다른 그룹도 십 규빗이니 그 두 그룹은 같은 크기와 같은 모양이요
이 그룹의 높이가 십 규빗이요 저 그룹도 같았더라
솔로몬이 내소 가운데에 그룹을 두었으니 그룹들의 날개가 퍼져 있는데 이쪽 그룹의 날개는 이쪽 벽에 닿았고 저쪽 그룹의 날개는 저쪽 벽에 닿았으며 두 날개는 성전의 중앙에서 서로 닿았더라
그가 금으로 그룹을 입혔더라
내 외소 사방 벽에는 모두 그룹들과 종려와 핀 꽃 형상을 아로새겼고
내외 성전 마루에는 금으로 입혔으며
내소에 들어가는 곳에는 감람나무로 문을 만들었는데 그 문인방과 문설주는 벽의 오분의 일이요
감람나무로 만든 그 두 문짝에 그룹과 종려와 핀 꽃을 아로새기고 금으로 입히되 곧 그룹들과 종려에 금으로 입혔더라
또 외소의 문을 위하여 감람나무로 문설주를 만들었으니 곧 벽의 사분의 일이며
그 두 문짝은 잣나무라 이쪽 문짝도 두 짝으로 접게 되었고 저쪽 문짝도 두 짝으로 접게 되었으며
그 문짝에 그룹들과 종려와 핀 꽃을 아로새기고 금으로 입히되 그 새긴 데에 맞게 하였고
열왕기상 6:20-35 해설
20이 구절은 솔로몬이 예루살렘에 세운 성전의 가장 안쪽, 지성소(내소)의 크기와 장식을 설명합니다. 지성소는 길이, 너비, 높이가 각각 20 규빗으로 완전히 입체적으로 균형 잡힌 형태이며, 이 곳은 특히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공간입니다. 또한 내부는 순금으로 덮여 있어서 그 거룩함과 영광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백향목 제단도 금으로 입혀져 있어 더러운 것 없이 전적으로 거룩하게 보존된 모습을 보여주며 이는 하나님의 거룩함과 성전을 향한 헌신을 상징합니다.
21이 구절은 솔로몬 왕이 예루살렘에 있는 성전을 건축할 때, 성전 내부를 어떻게 장식하였는지를 설명합니다. 여기서 '정금'은 순금을 의미하며, '외소'와 '내소'는 각각 성전의 외부 방과 내부 방을 가리킵니다. 솔로몬은 이 두 장소 모두를 금으로 입히고, 내소 앞에는 금사슬을 걸어서 더욱 화려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섬세한 장식은 하나님의 거룩함과 위엄을 상징하며, 성전을 통해 하나님께 최고 수준의 존경과 경배를 드리고자 하는 솔로몬의 의지를 나타냅니다.
22이 구절은 솔로몬 왕이 예루살렘(현재 이스라엘의 수도)에 있는 성전을 건축하면서, 온 성전 내부를 금으로 장식했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특히 지성소, 즉 내소에 속한 제단까지도 전부 금으로 입혔음을 언급합니다. 이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거룩하게 섬기고자 하는 솔로몬의 마음과, 하나님의 위엄과 영광을 나타내기 위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당시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드리는 헌신과 경배의 수준이 얼마나 높은지 보여줍니다.
23본문은 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성소(지성소) 내부에 두 개의 큰 그룹(케루빔)을 만든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그룹들은 각각 높이가 십 규빗(약 4.5미터)이나 되었고, 이는 성전의 규모와 정교함을 보여줍니다. 감람나무로 제작된 이 그룹들은 금으로 입혀졌으며, 하나님의 임재가 머무는 곳인 지성소의 중앙에 위치하여 성스러움을 상징합니다. 그룹은 일반적으로 하나님의 보호와 영광을 나타내는 존재로 구약 전반에 걸쳐 등장합니다.
24이 구절은 솔로몬이 예루살렘에 성전을 건축할 때, 성소 안의 그룹(천사 모양의 조각)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두 그룹의 날개는 각각 다섯 규빗(약 2.3미터)이며, 한쪽 날개 끝에서 다른 쪽 날개 끝까지는 십 규빗(약 4.6미터)입니다. 이는 하나님과 그의 존재가 크고 장엄함을 상징하며, 성전의 거룩함과 신성함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묘사는 당시 이스라엘 민족에게 하나님의 임재와 보호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며, 경외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25이 구절은 솔로몬이 예루살렘에 성전을 건축할 때, 성소 안에 두 그룹(cherubim)을 만들며, 그 크기와 모양을 같게 만든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그룹"은 고대 이스라엘에서 하나님께 대한 경외와 천상의 존재를 상징하는 날개 달린 생명체입니다. 둘 다 동일한 크기인 십 규빗(약 4.5미터)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성막의 균형과 대칭성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자세한 묘사는 하나님 앞에서 정결하고 완전함을 추구하는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심을 반영합니다.
26이 구절은 솔로몬이 지은 성전의 내부를 묘사하는 내용으로, 특히 성소 안에 있는 두 그룹의 크기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규빗"은 고대 이스라엘에서 길이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단위로, 팔꿈치부터 손가락 끝까지의 길이를 의미하며 약 45cm 정도입니다. 따라서 열 규빗이면 약 4.5미터입니다. 성소 안에는 언약궤가 있었고, 그곳을 지키는 두 그룹(천사 모양 조각상)은 각기 높이가 동일하게 맞춰져 높이와 균형을 상징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완전하고 공평하심을 나타냅니다.
27이 구절은 솔로몬 왕이 예루살렘에 건축한 성전의 내소(지성소) 안에 있는 그룹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그룹들은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며, 두 날개가 성전의 좌우 벽에 닿고 중앙에서 맞닿아 그 장엄함과 거룩함을 강조합니다. 성경에서 '그룹'은 천사 같은 존재로, 하나님을 섬기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꾸밈은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와 그분께 드리는 경외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백성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28솔로몬 왕이 성전을 건축할 때, 성소 안에 있는 그룹(천사 모양의 조각상)을 금으로 입힌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임재와 영광을 상징하며, 성전 내부의 아름다움과 장엄함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금으로 덮어 씌운 것은 재료의 귀중함과 더불어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영원함을 나타내기 위해 선택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구절은 솔로몬이 얼마나 세심하게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장소를 준비했는지를 보여줍니다.
29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할 때 내외소(내부와 외부)의 벽마다 그룹들, 종려나무, 핀 꽃 형상을 섬세하게 새겼다는 것을 묘사하는 구절입니다. 이는 하나님께 예배드릴 성전을 아름답고 정교하게 꾸미려는 솔로몬의 노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하나님의 거룩함과 영광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려는 의도를 반영합니다. 성전의 이러한 장식은 하나님의 임재와 교제의 장소인 성전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며, 예배자에게 경외감을 불러일으킵니다.
30솔로몬이 지은 예루살렘 성전 내부와 외부의 마루가 금으로 덮였다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최고의 정성과 존경을 표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금은 고대 세계에서 가장 귀하고 순수한 재료로 여겨졌으며, 이를 통해 성전의 거룩함과 영광스러움을 강조하고자 했습니다. 솔로몬 왕에 의해 건설된 성전은 이스라엘 민족에게 하나님께 나아가는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성전을 화려하게 꾸민 것은 하나님께서 기뻐 받으실만한 장소를 마련하려는 솔로몬의 심정을 보여줍니다.
31이 구절은 솔로몬이 예루살렘에 세운 성전의 내부 건축 양상을 설명합니다. '내소'는 지성소를 의미하며, 지성소는 하나님이 거하시는 가장 신성한 장소로 간주됩니다. 감람나무(올리브 나무)로 만든 문은 섬세하고 귀한 재료를 사용했음을 나타내며, 이는 하나님의 거룩함과 성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문인방과 문설주의 크기와 비율을 언급하는 부분은 이 성전이 정밀하게 설계되고 건축되었음을 보여줍니다.
32이 구절은 솔로몬이 예루살렘 성전의 문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감람나무는 성경에서 흔히 사용되는 귀중한 재료로, 두 문짝에 그룹(천사들)과 종려나무, 핀 꽃을 정교하게 조각하였음을 나타냅니다. 그룹은 하나님의 임재와 보호를 상징하며, 종려나무와 핀 꽃은 번영과 평화를 상징합니다. 또 이 모든 조각들은 금으로 덮여 있어 장엄함과 거룩함을 더해줍니다. 이는 솔로몬이 하나님께 드리는 성전임을 강조하며 최고의 정성과 영광으로 지어졌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33이 구절은 솔로몬 왕이 예루살렘 성전을 건축할 때 외소의 문을 위해 감람나무로 만든 문설주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외소'는 성전의 외곽 부분 중 하나를 의미하며, 감람나무는 아마도 그 견고함과 아름다움 때문에 선택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세심하게 재료를 선택하고 정확한 비율로 설계된 것은 솔로몬이 하나님께 드리는 성전을 얼마나 정성 들여 지었는지를 보여줍니다.
34열왕기상 6:34에서는 솔로몬이 건설한 성전의 문짝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성전의 문재료가 잣나무였으며, 각각의 문짝이 두 부분으로 접혀 있는 구조였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상세한 묘사는 성전 건축의 정교함과 솔로몬 왕조가 하나님을 얼마나 경외하며 정성을 다해 예배 장소를 지었는지 보여줍니다. 또한 서로 맞물리는 구조는 당시 기술력과 예술성의 높은 수준을 드러내며, 하나님의 집이라는 상징성과 웅장함을 강조합니다.
35솔로몬이 예루살렘 성전(Holy Temple)을 건축할 때, 문짝에는 그룹들과 종려나무, 핀 꽃을 아로새긴 후 금으로 입혔습니다. 이는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처소의 거룩함과 아름다움을 상징하며, 섬세한 장식과 고귀한 재료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기리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장식들은 하나님께 드리는 경배와 존경의 표현으로, 성전은 단순한 건물 이상의 영적 의미를 가진 장소임을 나타냅니다.
열왕기상 6장 해설
솔로몬의 성전 건축
열왕기상 6:20-35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