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역대하 35:20-25
역대하 > 35장 > 20-25절
역대하 35:20-25 개역개정
이 모든 일 후 곧 요시야가 성전을 정돈하기를 마친 후에 애굽 왕 느고가 유브라데 강 가의 갈그미스를 치러 올라왔으므로 요시야가 나가서 방비하였더니
느고가 요시야에게 사신을 보내어 이르되 유다 왕이여 내가 그대와 무슨 관계가 있느냐 내가 오늘 그대를 치려는 것이 아니요 나와 더불어 싸우는 족속을 치려는 것이라 하나님이 나에게 명령하사 속히 하라 하셨은즉 하나님이 나와 함께 계시니 그대는 하나님을 거스르지 말라 그대를 멸하실까 하노라 하나
요시야가 몸을 돌이켜 떠나기를 싫어하고 오히려 변장하고 그와 싸우고자 하여 하나님의 입에서 나온 느고의 말을 듣지 아니하고 므깃도 골짜기에 이르러 싸울 때에
활 쏘는 자가 요시야 왕을 쏜지라 왕이 그의 신하들에게 이르되 내가 중상을 입었으니 나를 도와 나가게 하라
그 부하들이 그를 병거에서 내리게 하고 그의 버금 병거에 태워 예루살렘에 이른 후에 그가 죽으니 그의 조상들의 묘실에 장사되니라 온 유다와 예루살렘 사람들이 요시야를 슬퍼하고
예레미야는 그를 위하여 애가를 지었으며 모든 노래하는 남자들과 여자들은 요시야를 슬피 노래하니 이스라엘에 규례가 되어 오늘까지 이르렀으며 그 가사는 애가 중에 기록되었더라
역대하 35:20-25 해설
20성전을 정돈한 요시야 왕의 통치 말기에 일어난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애굽(이집트) 왕 느고는 당시 주요 도시였던 유브라데 강 가의 갈그미스(카라막수)를 공격하기 위해 북쪽으로 올라왔습니다. 이에 요시야 왕은 애굽을 방비하고자 나섰습니다. 이 구절은 요시야 왕이 종교적 개혁 이후에도 정치적, 군사적으로도 매우 활발하였음을 나타내며, 동시에 그의 통치 기간 중 외부 세력에 대한 경계를 보여줍니다.
21느고는 이집트(애굽)의 왕으로, 요시야 왕에게 그의 길을 방해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느고는 자신이 하나님께로부터 명령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그 명령에 따라 특정한 목표를 향해 전쟁을 하러 가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요시야에게 "하나님을 거스르지 말라"고 권면하는 것은 요시야가 서 있는 위치에서 하나님의 뜻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때로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가 우리의 기대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며, 신앙인으로서 하나님의 명령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순종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암시합니다.
22요시야 왕은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하고 이집트(애굽) 파라오 느고와의 전투에서 싸우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경고하신 것을 듣지 않고 변장하여 참전했지만, 결국 므깃도 골짜기에서 전투 중에 죽게 됩니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지 않는 것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신앙인의 삶에서 순종과 지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23요시야 왕은 여호와께 충성하며 그의 율법을 준수하였던 훌륭한 왕이었습니다. 그러나 역대하 35:23의 배경은 요시야 왕이 므깃도 전투에서 애굽(현대 이집트)의 바로느고와 싸우다 부상을 입는 장면입니다. 이 구절은 요시야가 화살 맞아 심각한 상처를 입었음을 그리고 있으며, 그는 그의 신하들에게 자신을 도와 전장에서 나가게 해달라는 요청을 합니다. 이는 아무리 경건하고 의로운 인물이라 할지라도 하나님의 뜻 앞에 인간의 연약함과 한계를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24요시야 왕은 유다 왕국의 훌륭한 개혁자였으며, 하나님의 율법을 준수하려고 힘썼던 믿음의 사람입니다. 그러나 요시야는 므깃도(메기도)에서 애굽(이집트)의 바로 느고와 전투 중에 치명상을 입고 결국 돌아가셨습니다. 그의 죽음 이후, 부하들은 그를 병거에 태워 예루살렘으로 데려왔고, 그는 조상들의 묘실에 장사되었습니다. 요시야의 죽음을 슬퍼하는 모습에서 우리는 그가 백성들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으며, 그의 경건한 통치가 많은 사람들에게 기리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25이 구절은 요시야 왕의 죽음을 슬퍼하는 예레미야와 이스라엘 백성들의 애도를 다룹니다. 예레미야는 요시야를 애도하며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노래를 작곡하였고, 그 노래는 남자와 여자 가수들에 의해 불리며 이스라엘에 규례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는 요시야 왕이 얼마나 훌륭하고 존경받던 왕인지 보여줍니다. 또한, 이 애도가 "애가"라는 책에 기록되어 있으니 후에도 그의 비극적인 죽음이 많이 회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역대하 35장 해설
요시야 왕의 유월절과 전사
역대하 35:20-25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