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back icon

공유하기

유다의 왕 아사랴 제오십이년에 르말랴의 아들 베가가 이스라엘 왕이 되어 사마리아에서 이십 년간 다스리며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로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이스라엘 왕 베가 때에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이 와서 이욘과 아벨벳 마아가와 야노아와 게데스와 하솔과 길르앗과 갈릴리와 납달리 온 땅을 점령하고 그 백성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옮겼더라 웃시야의 아들 요담 제이십년에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반역하여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쳐서 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베가의 남은 사적과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니라 이스라엘의 왕 르말랴의 아들 베가 제이년에 유다 왕 웃시야의 아들 요담이 왕이 되니 나이가 이십오 세라 예루살렘에서 십육 년간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여루사라 사독의 딸이더라 요담이 그의 아버지 웃시야의 모든 행위대로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였으나 오직 산당을 제거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백성이 여전히 그 산당에서 제사를 드리며 분향하였더라 요담이 여호와의 성전의 윗문을 건축하니라 요담의 남은 사적과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유다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그 때에 여호와께서 비로소 아람 왕 르신과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보내어 유다를 치게 하셨더라 요담이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매 그의 조상 다윗 성에 조상들과 함께 장사되고 그 아들 아하스가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열왕기하 15:27-38

열왕기하 > 15장 > 27-38

열왕기하 15:27-38

열왕기하 15:27-38 개역개정

유다의 왕 아사랴 제오십이년에 르말랴의 아들 베가가 이스라엘 왕이 되어 사마리아에서 이십 년간 다스리며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로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이스라엘 왕 베가 때에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이 와서 이욘과 아벨벳 마아가와 야노아와 게데스와 하솔과 길르앗과 갈릴리와 납달리 온 땅을 점령하고 그 백성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옮겼더라

웃시야의 아들 요담 제이십년에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반역하여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쳐서 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베가의 남은 사적과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니라

이스라엘의 왕 르말랴의 아들 베가 제이년에 유다 왕 웃시야의 아들 요담이 왕이 되니

나이가 이십오 세라 예루살렘에서 십육 년간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여루사라 사독의 딸이더라

요담이 그의 아버지 웃시야의 모든 행위대로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였으나

오직 산당을 제거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백성이 여전히 그 산당에서 제사를 드리며 분향하였더라 요담이 여호와의 성전의 윗문을 건축하니라

요담의 남은 사적과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유다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그 때에 여호와께서 비로소 아람 왕 르신과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보내어 유다를 치게 하셨더라

요담이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매 그의 조상 다윗 성에 조상들과 함께 장사되고 그 아들 아하스가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열왕기하 15:27-38 해설

27여로보암의 아들 스가랴가 이스라엘 왕이 되어 사마리아에서 여섯 달 동안 왕으로 있었습니다. 그는 여로보암처럼 하나님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백성을 죄악으로 인도하였습니다. 결국 야베스의 아들 살룸이 반역하여 스가랴를 죽이고 그의 자리를 대신하게 됩니다. 이 구절은 악한 리더십과 그 결과에 대해 경고하며, 신실한 리더십 없이는 공동체 전체가 큰 위험에 처할 수 있음을 깨닫게 합니다. 또한 하나님의 심판은 피할 수 없으며, 모든 것에는 그분의 뜻이 작용하고 있다는 중요한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28열왕기하 15:28 절은 북이스라엘의 왕이었던 베가가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한 사실을 언급합니다. 이는 그가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범했던 죄에서 떠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여로보암은 금송아지를 만들어 백성들이 이를 섬기게 하여 우상 숭배를 조장했습니다. 베가는 이러한 죄악된 행위를 지속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을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했으며, 이는 북이스라엘의 영적인 타락과 궁극적인 멸망으로 이어졌습니다.

29이 구절은 이스라엘 왕국이 앗수르(현재의 이라크와 일부 시리아 지역) 왕 디글랏 빌레셀에 의해 침략되고 정복되는 사건을 설명합니다. 베가가 통치하던 시기에 앗수르는 북이스라엘을 공격하여 주요 도시와 지역, 즉 갈릴리와 납달리 까지 포함되는 북부 제법 넓은 땅들을 점령하였습니다. 그 결과로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은 포로로 잡혀 앗수르로 강제 이주되었습니다. 이는 북왕국의 몰락과 하나님의 심판이 임했음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건으로, 하나님께 불순종한 결과를 경고하는 역할도 합니다.

30이스라엘의 역사에서, 호세아는 베가 왕을 반역하고 살해하여 왕위를 차지한 인물로 등장합니다. 요단 동쪽의 갈릴리 지역에서는 아시리아(현재의 이라크와 시리아 지역)의 강력한 압박이 있었고, 이는 큰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했습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호세아는 권력을 잡기 위해 베가를 제거하게 된 것입니다. 요담은 당시 유다 왕국의 왕으로 예루살렘(현재도 똑같은 이름인 예루살렘에 해당)에서 통치하고 있었습니다. 이 구절은 북이스라엘 왕국 내에서 일어난 권력 다툼과 함께 하나님의 약속을 떠난 민족에게 다가오는 심판을 암시합니다.

31열왕기하 15:31에서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왕 중 하나인 베가의 통치와 그의 업적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베가는 유다 왕국과는 별개로 북이스라엘을 다스렸던 왕으로, 그의 상세한 행적은 지정된 사서, 즉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성경 본문에서는 구체적으로 그의 행적을 다 설명하지 않지만, 이러한 기록들은 그 시대의 역사와 정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서 여겨졌음을 나타냅니다.

32이 구절은 유다 왕국과 이스라엘 왕국의 두 왕, 요담과 베가의 통치 시기를 연결하는 내용입니다. 르말랴의 아들 베가는 북이스라엘 왕국(이스라엘)의 왕으로 등장하며, 그의 통치 제2년에 남유다 왕국(유다)의 웃시야왕의 아들인 요담이 남유다의 왕으로 즉위하게 됩니다. 성경에서는 이러한 연대 비교를 통해 역사적 사건들이 각각 언제 일어났는지를 명확히 정리하여 독자들에게 두 왕국 사이의 관계와 그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이는 당시 이스라엘 역사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33이 구절은 유다 왕 아사랴(또는 웃시야)의 통치 기간과 그의 어머니 여루사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아사랴는 25세에 왕위에 올라 예루살렘에서 16년 동안 다스렸으며, 그의 어머니 여루사는 제사장 사독의 딸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세부 사항 제공은 성경이 언제나 역사적 인물과 그 가족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며, 그들이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명확히 하고자 함을 드러냅니다.

34요담은 웃시야 왕의 아들로서, 그의 아버지와 같이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히 행한 왕이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율법을 따라 살며, 하나님께 기도하고 예배를 드리는 등 신앙적으로 올바르게 행했습니다. 요담의 통치는 유다(남유다)가 아직 하나님과의 관계를 잘 유지하고 있었던 시기로 평가되며, 그는 백성들에게도 좋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에도 이스라엘 전체적으로는 우상 숭배와 같은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하였습니다.

35열왕기하 15:35에서는 유다 왕 요담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요담은 여호와의 성전의 윗문을 건축하는 등 종교적 개혁을 시도했지만, 산당을 제거하지 않았습니다. 산당은 당시 여러 신에게 제사를 드리던 장소로, 이는 하나님께서 금지하셨던 일입니다(신명기 12:13-14 참조). 이 구절은 요담이 부분적인 개혁만 이루었음을 나타내며, 완전한 순종과 전폭적인 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요담의 왕국 다시 번영할 수 있었으나, 백성들이 여전히 산당에서 잘못된 예배를 드리고 있었던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6이 구절은 유다 왕 요담의 통치 기간 동안 그가 행한 여러 가지 일들이 "유다 왕 역대지략," 즉 유다 왕국 역사에 대한 공식 기록에 문서로 남아 있다는 것을 가리킵니다. 이는 성경 외에도 다른 역사적 문서들이 존재했음을 시사하며, 요담의 통치는 하나님의 백성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강조합니다. 여기서 '역대지략'은 오늘날로 치면 공식 기록이나 역사 서적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37하나님께서 유다 왕국을 치게 하셨다는 이 구절은 유다 백성의 불순종과 우상 숭배에 대한 하나님의 징계로 해석됩니다. 아람(현재의 시리아) 왕 르신과 이스라엘 북부 왕국의 베가를 통해 유다에 대한 심판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당시 민족들 간의 전쟁은 단순한 인간사적인 일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 아래서 역사를 이루시는 방식임을 강조합니다. 이는 우리의 삶에서도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역사하시며 우리의 순종을 요구하신다는 중요한 교훈을 전하고 있습니다.

38요담은 그의 조상들과 함께 사망하여 예루살렘에 있는 다윗 성에 묻혔습니다. 그의 통치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그가 죽은 후 아들 아하스가 왕위를 이어받았습니다. 요담의 사망과 왕위 계승 과정은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이는 하나님께서 다윗과 맺으신 언약을 계속 유지하신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easy bible

열왕기하 15장 해설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의 연속적인 통치와 하나님께 대한 불순종의 결과

열왕기하 15:27-38 관련 성경

열왕기하 개요
열왕기하 15장
열왕기하 15:27
열왕기하 15:28
열왕기하 15:29
열왕기하 15:30
열왕기하 15:31
열왕기하 15:32
열왕기하 15:33
열왕기하 15:34
열왕기하 15:35
열왕기하 15:36
열왕기하 15:37
열왕기하 15:38
열왕기하 15:1-2
열왕기하 15:1-3
열왕기하 15:1-4
열왕기하 15:1-5
열왕기하 15:1-7
열왕기하 15:1-12
열왕기하 15:1-16
열왕기하 15:1-20
열왕기하 15:1-38
열왕기하 15:2-3
열왕기하 15:3-4
열왕기하 15:3-5
열왕기하 15:4-5
열왕기하 15:8-12
열왕기하 15:8-16
열왕기하 15:10-14
열왕기하 15:13-14
열왕기하 15:13-15
열왕기하 15:13-26
열왕기하 15:17-18
열왕기하 15:17-22
열왕기하 15:17-26
열왕기하 15:19-20
열왕기하 15:23-25
열왕기하 15:23-28
열왕기하 15:23-31
열왕기하 15:23-38
열왕기하 15:25-28
열왕기하 15:27-28
열왕기하 15:27-30
열왕기하 15:27-31
열왕기하 15:27-38
열왕기하 15:29-30
열왕기하 15:29-31
열왕기하 15:30-33
열왕기하 15:32-33
열왕기하 15:32-34
열왕기하 15:32-35
열왕기하 15:32-38
열왕기하 15:34-35
열왕기하 15:36-38
열왕기하 15:3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