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출애굽기 21:7-11
출애굽기 > 21장 > 7-11절
출애굽기 21:7-11 개역개정
사람이 자기의 딸을 여종으로 팔았으면 그는 남종 같이 나오지 못할지며
만일 상전이 그를 기뻐하지 아니하여 상관하지 아니하면 그를 속량하게 할 것이나 상전이 그 여자를 속인 것이 되었으니 외국인에게는 팔지 못할 것이요
만일 그를 자기 아들에게 주기로 하였으면 그를 딸 같이 대우할 것이요
만일 상전이 다른 여자에게 장가 들지라도 그 여자의 음식과 의복과 동침하는 것은 끊지 말 것이요
그가 이 세 가지를 시행하지 아니하면, 여자는 속전을 내지 않고 거저 나가게 할 것이니라
출애굽기 21:7-11 해설
7이 구절은 고대 이스라엘 사회의 법률과 관습을 반영한 것입니다. 당시에는 경제적 필요에 따라 딸을 여종으로 파는 경우가 있었으며, 그런 상황에서 여종은 남종과 다르게 취급되었습니다. 남종들은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자유를 얻을 수 있었지만, 여종은 그 집안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거나 다른 방식으로 독립될 가능성이 낮았습니다. 이러한 법규는 당시 사회 구조와 가부장제 하에서 여성의 보호와 현실적인 조건들을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8이 구절은 고대 이스라엘의 노예제도와 관련된 규정 중 하나입니다. '상전'이 여자 노예를 사서 아내로 삼지 않기로 결정하면, 그녀를 속량하여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이 절에서는 여자의 존엄성을 보호하고 권리를 보장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상전이 그녀를 외국인에게 팔 경우, 이는 그녀의 기본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로 간주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전이 여자를 속이고 벗어나려 하면 외국인에게 팔지 말고 그를 해방시켜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9출애굽기 21:9 말씀은 구약시대의 사회적, 법적 규칙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종이나 노예로 팔려온 여인이 주인의 아들과 결혼하게 될 경우, 그녀를 가족의 일원으로서 딸처럼 대우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이는 당시 가부장적 사회 구조에서 여인들이 겪을 수 있는 불평등과 불합리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 장치로 볼 수 있으며, 하나님께서 모든 인간관계에서 정의와 사랑을 실천하도록 요구하시는 것을 반영합니다.
10이 구절은 고대 이스라엘 사회에서 노예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여기서 '상전'은 남성을, '다른 여자'는 두 번째 아내를 의미합니다. 만약 남성이 두 번째 아내를 맞이하더라도 첫 번째 여종(노예 여성)의 기본적 의식주와 동떡을 계속해서 제공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당시에 상대적으로 약자인 여성들이 최소한의 생존권과 존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그들을 돌보시며 주신 규례입니다. 여기에 담긴 하나님의 마음은 모든 사람에게 공평한 대우와 사랑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11이 구절은 고대 이스라엘의 노예 제도에서 여종(여자 노예)의 권리에 관한 규정입니다. 주인은 여종에게 세 가지 의무, 즉 음식, 의복, 혼인 권리를 제공해야 했습니다. 만약 주인이 이 의무들을 지키지 않으면 그녀는 속전을 치르지 않고 자유롭게 풀려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당시 사회에서 약자였던 여종에 대한 최소한의 보호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며 하나님께서 인권과 정의를 중요시하신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출애굽기 21장 해설
이스라엘 백성을 위한 법령과 규례
출애굽기 21:7-11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