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출애굽기 34:29-35
출애굽기 > 34장 > 29-35절
출애굽기 34:29-35 개역개정
모세가 그 증거의 두 판을 모세의 손에 들고 시내 산에서 내려오니 그 산에서 내려올 때에 모세는 자기가 여호와와 말하였음으로 말미암아 얼굴 피부에 광채가 나나 깨닫지 못하였더라
아론과 온 이스라엘 자손이 모세를 볼 때에 모세의 얼굴 피부에 광채가 남을 보고 그에게 가까이 하기를 두려워하더니
모세가 그들을 부르매 아론과 회중의 모든 어른이 모세에게로 오고 모세가 그들과 말하니
그 후에야 온 이스라엘 자손이 가까이 오는지라 모세가 여호와께서 시내 산에서 자기에게 이르신 말씀을 다 그들에게 명령하고
모세가 그들에게 말하기를 마치고 수건으로 자기 얼굴을 가렸더라
그러나 모세가 여호와 앞에 들어가서 함께 말할 때에는 나오기까지 수건을 벗고 있다가 나와서는 그 명령하신 일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하며
이스라엘 자손이 모세의 얼굴의 광채를 보므로 모세가 여호와께 말하러 들어가기까지 다시 수건으로 자기 얼굴을 가렸더라
출애굽기 34:29-35 해설
29모세가 시내 산에서 하나님과 교제한 후 내려올 때 그의 얼굴에 광채가 났다는 것은 하나님의 임재와 영광이 얼마나 강력했는지를 보여줍니다. 모세는 하나님으로부터 율법의 두 돌판을 받았고, 그와의 깊은 대화로 인해 얼굴에서 빛이 났으나, 정작 본인은 이를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교제가 인간에게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상징하며, 동시에 하나님의 임재가 사람을 변화시킨다는 중요한 신학적 진리를 담고 있습니다.
30모세가 시내산(시나이 산)에 올라 하나님과 대면하고 십계명을 받은 후, 그의 얼굴에서 빛이 나왔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영광의 반사가 모세에게 임한 것입니다. 아론과 이스라엘 자손들은 이 광채를 보고 두려움을 느꼈지만, 이는 그들이 하나님의 거룩함과 권능을 직접 경험하였기 때문입니다. 이 광채는 모세가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를 통해 얻은 특별한 은혜와 권위를 상징하며, 모세는 이를 통해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능력을 부여받았습니다.
31이 구절은 모세가 신의 계명을 새롭게 받은 후, 산에서 내려와 백성들을 소집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모세는 아론과 이스라엘 백성의 지도자들을 먼저 불러 그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율법과 언약을 백성에게 전파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하나님과 백성 간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모세가 중재자로서 그들의 믿음을 강화하며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32모세가 시내산에서 받은 하나님의 말씀을 온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하는 장면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율법과 계명들을 전달하는 중요한 순간을 나타냅니다. 시내산(시나이 산)에서의 만남은 이스라엘 민족의 신앙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들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살아가는 공동체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모세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하나님과 백성 사이에 다리를 놓고 하나님의 의지를 전달함으로써 지도자의 책임을 다한 것입니다.
33모세가 시내산에서 하나님과 대면하여 십계명을 받고 내려왔을 때, 그의 얼굴은 하나님의 영광으로 인해 광채가 났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광채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두려움을 주었기 때문에 모세는 그들과 이야기할 때마다 자신의 얼굴을 수건으로 가렸습니다. 이는 그들이 하나님과의 만남과 율법의 전달 과정에서 두려워하지 않도록 배려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이 사건은 하나님의 영광이 얼마나 크고 놀라운지를 또 한 번 보여주며, 인간이 직접 대면하기 어려운 신성한 존재임을 깨닫게 합니다.
34모세가 여호와 앞에서 함께 말할 때 수건을 벗는 장면은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교제를 통해 모세가 하나님의 영광을 강하게 받아들이는 순간을 의미합니다. 이 행동은 모세가 하나님과의 대면 안에서 특별한 신성의 빛, 곧 하나님의 권위와 능력을 직관적으로 체험하는 것을 상징합니다. 이후에 모세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나아가 하나님의 명령을 전하면서 다시 수건을 썼습니다. 이는 그가 받은 메시지가 명확하고 분명하며, 그의 전달이 신실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수건을 쓰고 벗는 행위는 모세 자신이 아닌 하나님께서 중심에 서 있음을 강조하며, 백성들에게도 동일한 경외심과 순종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35모세가 신의 영광을 대면한 후 그의 얼굴이 빛나는 것을 이스라엘 자손들이 직접 목격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모세가 하나님과 특별한 연합 상태에 있었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그 광채는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줄 수 있었기 때문에, 모세는 여호와께 다시 말하러 들어갈 때까지 자신의 얼굴을 수건으로 가려야 했습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거룩함과 인간의 죄성을 대비시키며, 신앙 공동체 내에서 지도자의 영적인 권위를 강조하는 중요한 장면을 보여줍니다.
출애굽기 34장 해설
두 번째 돌판을 받은 모세
출애굽기 34:29-35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