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 소개
사사기는 구약성경의 일곱 번째 책으로, 전통적으로 사무엘 선지자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책은 이스라엘 백성을 압제자로부터 구출하기 위해 신에 의해 세워진 사사로 알려진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주요 인물로는 데보라, 기드온, 삼손 등이 있으며, 이들은 신앙과 구원의 행동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사사기는 이스라엘의 죄와 하나님의 의로운 심판, 자비로운 구원의 순환적 본질을 보여줌으로써 기독교 교리에 기여합니다. 성경의 다른 역사서와 달리 사사기는 이스라엘 역사에서 왕이 없고 모든 사람이 제멋대로 살았던 특정 시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사사기 작성 배경
사사기는 여호수아의 죽음과 왕정 수립 사이의 기간(기원전 1380년~1050년경) 동안 이스라엘의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쓰여졌습니다. 사사기는 이스라엘 백성의 영적, 도덕적 타락을 보여 주며 불순종의 결과와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극명하게 일깨워 주는 역할을 합니다. 당시의 정치적, 종교적 혼란을 반영하기 때문에 시대적 배경과의 관련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사사기 핵심 주제
사사기의 주요 주제는 하나님에 대한 불순종과 반역, 하나님의 심판, 회개와 구원입니다. 사사기는 하나님을 잊고 자신의 길을 따르는 것의 위험성과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자들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자비에 대한 경고의 역할을 합니다.
사사기 주요 구절
사사기 10:16 >
자기 가운데에서 이방 신들을 제하여 버리고 여호와를 섬기매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의 곤고로 말미암아 마음에 근심하시니라
사사기 2:16-17 >
여호와께서 사사들을 세우사 노략자의 손에서 그들을 구원하게 하셨으나 그들이 그 사사들에게도 순종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다른 신들을 따라가 음행하며 그들에게 절하고 여호와의 명령을 순종하던 그들의 조상들이 행하던 길에서 속히 치우쳐 떠나서 그와 같이 행하지 아니하였더라
사사기 21:25 >
그 때에 이스라엘에 왕이 없으므로 사람이 각기 자기의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하였더라
사사기 3:7 >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여 자기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잊어버리고 바알들과 아세라들을 섬긴지라
이스라엘 지파들의 독립적인 전투
사사기 1장・성경 해설 >
사무엘이 섬기는 하나님의 말씀과 엘리의 가정의 패역
사사기 2장・성경 해설 >
사무엘의 섬김을 받는 사울의 시작과 그의 미래에 대한 예언
사사기 3장・성경 해설 >
데보라와 바락의 싸움
사사기 4장・성경 해설 >
사무엘기 5장 - 블레셋 사람들이 다곤의 신상을 섬기다가 그 신상이 엎어지고 질병이 퍼지는 사건이 일어남
사사기 5장・성경 해설 >
미디안 사람들의 탄압과 사무엘의 부름
사사기 6장・성경 해설 >
사울의 죽음과 이스라엘의 패배
사사기 7장・성경 해설 >
다윗의 왕국 번영과 하나님의 도 전파
사사기 8장・성경 해설 >
이스라엘의 죄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회상과 찬양
사사기 9장・성경 해설 >
야베스의 기도와 하나님의 응답
사사기 10장・성경 해설 >
여호와의 영감을 받아서 예배와 싸움을 이끌어 나가는 야익의 이야기
사사기 11장・성경 해설 >
사무엘기의 경고와 지도자로서의 역할
사사기 12장・성경 해설 >
하나님의 구원을 암시하는 삼손의 출생
사사기 13장・성경 해설 >
삼손의 결혼과 사사기 시대의 이스라엘과 블레셋 사이의 갈등
사사기 14장・성경 해설 >
삼손의 힘과 신의 도움으로 이루어진 승리
사사기 15장・성경 해설 >
다윗, 하나님의 선택된 왕으로 세워짐
사사기 16장・성경 해설 >
엘리야와 처녀의 밀헌
사사기 17장・성경 해설 >
엘리야와 바알의 대결과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는 이야기
사사기 18장・성경 해설 >
베냐민 지파의 악행과 이스라엘의 분노, 전쟁의 결과
사사기 19장・성경 해설 >
벤자민 지파와의 전쟁, 이스라엘의 심판과 회개
사사기 20장・성경 해설 >
베냐민 지파의 남은 자손을 구하기 위한 비극적인 결정
사사기 21장・성경 해설 >
< 이전 장
다음 장 >
여호수아 24장
사사기 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