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back icon

공유하기

여호수아 21:1-45

여호수아 > 21장 > 1-45

여호수아 21:1-45

여호수아 21:1-45 개역개정

그 때에 레위 사람의 족장들이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자손의 지파 족장들에게 나아와

가나안 땅 실로에서 그들에게 말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사 우리가 거주할 성읍들과 우리 가축을 위해 그 목초지들을 우리에게 주라 하셨나이다 하매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자기의 기업에서 이 성읍들과 그 목초지들을 레위 사람에게 주니라

그핫 가족을 위하여 제비를 뽑았는데 레위 사람 중 제사장 아론의 자손들은 유다 지파와 시므온 지파와 베냐민 지파 중에서 제비 뽑은 대로 열세 성읍을 받았고

그핫 자손들 중에 남은 자는 에브라임 지파의 가족과 단 지파와 므낫세 반 지파 중에서 제비 뽑은 대로 열 성읍을 받았으며

게르손 자손들은 잇사갈 지파의 가족들과 아셀 지파와 납달리 지파와 바산에 있는 므낫세 반 지파 중에서 제비 뽑은 대로 열세 성읍을 받았더라

므라리 자손들은 그 가족대로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와 스불론 지파 중에서 열두 성읍을 받았더라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이스라엘 자손이 제비 뽑아 레위 사람에게 준 성읍들과 그 목초지들이 이러하니라

유다 자손의 지파와 시므온 자손의 지파 중에서는 이 아래에 기명한 성읍들을 주었는데

레위 자손 중 그핫 가족들에 속한 아론 자손이 첫째로 제비 뽑혔으므로

아낙의 아버지 아르바의 성읍 유다 산지 기럇 아르바 곧 헤브론과 그 주위의 목초지를 그들에게 주었고

그 성읍의 밭과 그 촌락들은 여분네의 아들 갈렙에게 주어 소유가 되게 하였더라

제사장 아론의 자손에게 준 것은 살인자의 도피성 헤브론과 그 목초지이요 또 립나와 그 목초지와

얏딜과 그 목초지와 에스드모아와 그 목초지와

홀론과 그 목초지와 드빌과 그 목초지와

아인과 그 목초지와 윳다와 그 목초지와 벧 세메스와 그 목초지이니 이 두 지파에서 아홉 성읍을 냈고

또 베냐민 지파 중에서는 기브온과 그 목초지와 게바와 그 목초지와

아나돗과 그 목초지와 알몬과 그 목초지 곧 네 성읍을 냈으니

제사장 아론 자손의 성읍은 모두 열세 성읍과 그 목초지들이었더라

레위 사람인 그핫 자손 중에 남은 자들의 가족들 곧 그핫 자손에게는 제비 뽑아 에브라임 지파 중에서 그 성읍들을 주었으니

곧 살인자의 도피성 에브라임 산지 세겜과 그 목초지이요 또 게셀과 그 목초지와

깁사임과 그 목초지와 벧호론과 그 목초지이니 네 성읍이요

또 단 지파 중에서 준 것은 엘드게와 그 목초지와 깁브돈과 그 목초지와

아얄론과 그 목초지와 가드 림몬과 그 목초지이니 네 성읍이요

또 므낫세 반 지파 중에서 준 것은 다아낙과 그 목초지와 가드 림몬과 그 목초지이니 두 성읍이라

그핫 자손의 남은 가족들을 위한 성읍들은 모두 열 성읍과 그 목초지들이었더라

레위 가족의 게르손 자손에게는 므낫세 반 지파 중에서 살인자의 도피성 바산 골란과 그 목초지를 주었고 또 브에스드라와 그 목초지를 주었으니 두 성읍이요

잇사갈 지파 중에서는 기시온과 그 목초지와 다브랏과 그 목초지와

야르뭇과 그 목초지와 엔 간님과 그 목초지를 주었으니 네 성읍이요

아셀 지파 중에서는 미살과 그 목초지와 압돈과 그 목초지와

헬갓과 그 목초지와 르홉과 그 목초지를 주었으니 네 성읍이요

납달리 지파 중에서는 살인자의 도피성 갈릴리 게데스와 그 목초지를 주었고 또 함못 돌과 그 목초지와 가르단과 그 목초지를 주었으니 세 성읍이라

게르손 사람이 그 가족대로 받은 성읍은 모두 열세 성읍과 그 목초지들이었더라

그 남은 레위 사람 므라리 자손의 가족들에게 준 것은 스불론 지파 중에서 욕느암과 그 목초지와 가르다와 그 목초지와

딤나와 그 목초지와 나할랄과 그 목초지이니 네 성읍이요

르우벤 지파 중에서 준 것은 베셀과 그 목초지와 야하스와 그 목초지와

그데못과 그 목초지와 므바앗과 그 목초지이니 네 성읍이요

갓 지파 중에서 준 것은 살인자의 도피성 길르앗 라못과 그 목초지이요 또 마하나임과 그 목초지와

헤스본과 그 목초지와 야셀과 그 목초지이니 모두 네 성읍이라

이는 레위 가족의 남은 자 곧 므라리 자손이 그들의 가족대로 받은 성읍이니 그들이 제비 뽑아 얻은 성읍이 열두 성읍이었더라

레위 사람들이 이스라엘 자손의 기업 중에서 받은 성읍은 모두 마흔여덟 성읍이요 또 그 목초지들이라

이 각 성읍의 주위에 목초지가 있었고 모든 성읍이 다 그러하였더라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의 조상들에게 맹세하사 주리라 하신 온 땅을 이와 같이 이스라엘에게 다 주셨으므로 그들이 그것을 차지하여 거기에 거주하였으니

여호와께서 그들의 주위에 안식을 주셨으되 그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대로 하셨으므로 그들의 모든 원수들 중에 그들과 맞선 자가 하나도 없었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그들의 모든 원수들을 그들의 손에 넘겨 주셨음이니라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족속에게 말씀하신 선한 말씀이 하나도 남음이 없이 다 응하였더라

여호수아 21:1-45 해설

1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가나안 땅을 정복한 후,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명령하신 대로 레위 지파에게 도피성 및 거주할 성읍들을 분배하는 과정 중의 한 장면입니다. 레위 지파는 이스라엘 민족 중에서 특별히 성막과 제사를 담당하는 역할을 맡았기 때문에, 그들에게 직접적인 소유지는 없었으나, 백성들이 사는 각 지파의 영역 안에 도시와 주변 목초지를 할당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하나님의 섬김과 율법 교육이 온 이스라엘에 고르게 퍼질 수 있었습니다.

2이스라엘 자손들이 가나안 땅 실로에서 레위 지파에게 성읍들과 목초지를 요구하는 장면입니다. 여호슈아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지시대로 행하여,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과, 모든 세대가 함께 그 말씀을 기억하고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한 레위 지파가 제사장 직분을 감당하며 생활의 안정을 찾도록 배려하는 하나님의 사랑도 드러납니다.

3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레위 지파에게 성읍들과 그 목초지를 할당한 내용을 다룹니다. 레위 지파는 이스라엘의 제사장 지파로서 땅을 소유하지 않는 대신, 각 다른 지파로부터 주어진 성읍과 목초지를 받아 그들의 생활과 봉사를 이어갔습니다. 이러한 배치는 레위 사람들이 하나님께 드리는 봉사와 교육, 사회적 역할에 전념할 수 있게 해 주며, 이것은 카나안(현재 팔레스타인 지역) 땅에서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 하나였습니다.

4여호수아 21:4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을 분배할 때 레위 지파의 특정 가문인 그핫 가족, 특히 제사장 아론의 자손들에게 주어진 성읍들에 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레위 지파에게 한 곳에 거주하지 않고 여러 지파 속에서 흩어져 살며 제사와 종교적인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셨습니다. 유다 지파, 시므온 지파, 베냐민 지파는 각각 현재의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지역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아론의 자손들은 이 세 지역에서 제비로 뽑은 13개의 성읍을 받아 각기 다른 지역에서 그들의 역할을 감당하게 된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그들의 영적 지도자로서 가까이 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5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각 지파별로 땅을 분배받는 과정에서, 레위 지파의 자손들 특히 그핫 자손들의 거주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핫 자손들은 여호와의 성막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맡았기 때문에, 특별한 땅을 할당받지 않고 대신 여러 지파의 지역 내에서 각 도시를 분배 받았습니다. 여기서는 에브라임(에프라임) 지파, 단 지파, 그리고 므낫세 반 지파 가운데서 열 개의 성읍이 할당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의 공평하신 배려를 나타내며 모든 족속이 그의 뜻 안에서 조화를 이루어 살아가게 하려는 의도를 반영합니다.

6게르손 자손들은 레위 지파의 한 분파로, 하나님께서는 그들에게 이스라엘 민족 중 여러 지파들로부터 제사장 역할을 수행할 성읍들을 주셨습니다. 여호수아 21:6에서는 이들의 분배를 설명하며, 게르손 자손들이 잇사갈 지파, 아셀 지파(아셀), 납달리 지파와 갈릴리에 위치한 바산에 있는 므낫세 반 지파(므낫세)에서 열세 성읍을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복음의 사역자들에게 필요한 물질적 지원과 거처를 제공하시는 모습을 보여주며, 모든 백성이 하나님의 일꾼들을 돌보도록 명령하신 것을 상기시킵니다.

7이 구절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후, 레위 지파에게 분배된 성읍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특히, 여기서는 레위 지파 중 므라리 자손들이 르우벤, 갓, 스불론 지파로부터 총 열두 성읍을 받은 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레위인들에게 각 지파에게서 성읍을 주어 그들 사이에서 거주하며 제사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신 것입니다. 이와 같은 분배는 이스라엘 공동체가 하나님의 율법 아래 하나로 묶여 있다는 상징적인 의미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8이 구절은 레위 지파에게 성읍과 목초지를 분배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명하신 대로 이스라엘 자손이 제비 뽑기를 통해 레위 사람들에게 그들의 거주지와 필요한 목초지를 배분하였습니다. 이는 레위 지파가 다른 지파와 달리 땅을 상속받지 못했기 때문에, 이스라엘 전체에서 분배된 성읍들 속에 그들의 거처를 마련해준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위 사람들은 하나님을 섬기는 사명을 감당하며 살아갈 수 있었습니다.

9이 구절은 이스라엘 자손이 약속의 땅 가나안에 정착한 후, 레위인들에게 그들의 직무를 감당할 수 있도록 각 지파의 성읍을 나누어 주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유다 지파와 시므온 지파가 할당된 성읍들을 레위인에게도 일부 제공하였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이스라엘 공동체가 함께 살아가며, 하나님께 봉사하는 자들의 필요를 책임지게 함으로써 신앙 공동체의 연대와 협력을 보여줍니다.

10이 구절은 레위 자손 중에서도 특별히 아론의 자손들이 처음으로 제비를 뽑아 성소와 제단에서 섬길 수 있는 특권을 얻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신 율법과 규례에 따라, 대제사장이 될 수 있는 아론의 후손들이 다른 레위 가족들보다 먼저 그 역할을 맡게 되는 중요한 순간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자신의 신성한 일들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하고 세우신 사람들과 그들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11이 구절은 헤브론(기럇 아르바)가 레위인에게 주어진 도시들 중 하나임을 나타냅니다. 아낙의 후손들은 높은 키와 힘으로 유명한 족속이었으며, 헤브론은 그들의 중요한 성읍 중 하나였습니다. 이 지역은 유다 지파의 기업에 속했지만, 특별히 제사장 직분을 수행하는 레위인들에게 주어졌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각 지파에게 그들의 땅을 나누어 주신 후, 여호수아를 통해 제사장의 역할을 담당하는 레위 지파를 위한 거주지와 목초지를 마련해 주신 것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목초지"는 그들이 생활하며 가축을 기를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12여호수아 21장 12절은 여분네의 아들 갈렙이 성읍의 밭과 그 촌락들을 소유하게 된 것을 언급합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가나안 땅에 정착시키며, 각 지파와 가문에게 땅을 분배하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갈렙은 믿음과 충성심으로 인해 특별히 헤브론(현재 팔레스타인 지역) 주변의 귀한 땅을 상으로 받았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대로 그의 신실함에 보답하셨음을 나타내며, 하나님의 공의와 신실함을 재확인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13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약속된 땅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제사장 아론의 자손에게 특정 도시들과 그 주변 목초지를 할당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살인자의 도피성'으로 언급된 헤브론(현재 팔레스타인이 관할하고 있는 알칼릴)은 의도하지 않은 살인을 저지른 사람이 피신하여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있는 안전한 장소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정의와 은혜를 나타내며, 공동체 내에서 생명을 보호하고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사회적 장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제사장직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온전히 하나님께 봉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했습니다.

14이 구절은 여호수아 21장에 나오는 레위 사람들에게 분배된 성읍들 중 일부를 언급하는 부분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나안 땅(현대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기업으로 주셨으며, 그 땅을 열두 지파에게 분배했습니다. 레위 지파는 제사장 직무를 수행했기에 따로 한 지역을 할당받지 않고 이와 같이 여러 지파의 성읍에 흩어져 살면서 필요한 목초지를 제공받았습니다. 얏딜과 에스드모아는 유다 지파와 시므온 지파의 영역 안에 있었던 두 성읍으로, 그 주변 목초지도 함께 주어졌음을 의미합니다.

15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지파들에게 할당된 레위 사람들의 성읍과 그 목초지를 나열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에서 언급된 홀론과 드빌은 유다 지파의 기업 중 레위인들에게 주어진 성읍들입니다. 이러한 도시들은 제사장들이 거주할 수 있도록 배정되었으며, 목초지는 그들의 가축을 기르는데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 생활을 돕기 위해 영적 지도자인 레위인들을 위한 특별한 배려를 보여줌으로써, 공동체 전체가 하나님의 율법에 따라 살도록 돕는 구조를 마련하신 것입니다.

16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자손들 가운데 레위 지파에게 주어진 도성과 그 목초지들을 나열하는 부분입니다. 아인, 윳다(현대 지명으로는 아직도 분명히 정의되지 않음), 그리고 벧 세메스(현재의 베이트셰메쉬) 같은 성읍들이 언급되고 있으며, 이곳들은 각각 목초지와 함께 레위 지파에게 할당되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레위 자손들이 제사장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생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였음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두 지파는 에브라임과 단을 의미하며, 그들은 총 아홉 성읍을 내어주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제사장들에게 요구하시던 특별한 배려와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17여호수아 21:17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후, 레위 지파에게 도시와 그 주변 목초지를 분배하는 장면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베냐민 지파가 속한 지역 중 기브온(현재의 엘지브)과 게바(현재의 제바)라는 두 마을이 레위 사람들에게 주어진 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분은 하나님께서 성막에서 봉사하는 레위인들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특별히 배려하신 것으로, 공동체 내에서 제사장과 그들의 가족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입니다. 이는 우리의 삶 속에서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을 공급하시고 돌보시는 분임을 상기시켜줍니다.

18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정착한 후, 각 지파에게 할당된 성읍을 소개하는 내용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언급된 "아나돗"과 "알몬"은 레위 지파의 제사장들이 거주할 수 있도록 주어진 성읍들입니다. 이런 성읍들은 제사장들의 생활과 사역을 지원하기 위해 주변에 목초지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는 그들이 동물들을 기르고 생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일꾼들을 돌보시는 배려를 보여주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19여호수아 21:19은 제사장 아론의 자손들에게 할당된 성읍과 그에 부속된 목초지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레위 지파의 역할과 사명을 강조하며, 특히 아론 자손이 이스라엘 공동체 내에서 하나님께 대한 제사장직을 수행하기 위해 거처할 장소로서 총 13개의 성읍이 주어졌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제사장들이 소유한 도시와 그 목초지는 여호와께 예배드리고 섬기는 일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20레위 사람인 그핫 자손 중 남은 자들은 제사장 아론의 후손이 아닌 레위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이들에게는 이스라엘 각 지파가 할당된 성읍들 중 일부를 분배받습니다. 여기서는 에브라임 지파(현재의 중부 이스라엘 지역)로부터 제비뽑기를 통해 성읍을 할당받는 장면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레위 지파를 특별히 구별하여 제사장 직무에 전념하도록 하시고, 그들의 생계를 위하여 다른 지파들이 땅과 재산을 나누어 주라는 명령에 따라 진행된 것입니다. 이러한 배분은 공동체 내에서 조화와 평형을 유지하려는 하나님의 섭리를 보여줍니다.

21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레위 지파에게 할당된 성읍들을 나누어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도피성'으로 지정된 세겜(현대의 나블루스)과 그 주변 목초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도피성은 부지중에 살인한 자들이 피할 수 있는 장소로, 공평한 재판을 받기 전에 무고하게 보복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에브라임 산지에 위치한 세겜은 역사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장소인데, 아브라함과 야곱이 머물렀던 곳이며 이스라엘백성이 요단강을 건너 들어온 후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곳을 도피성으로 정하신 것은 법과 정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한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22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레위 자손에게 준 도시와 그 주변 목초지에 관한 설명입니다. 깁사임과 벧호론은 두개의 성읍으로, 당시 이 성읍들은 레위 지파의 일원들에게 주어졌습니다. 이들은 모든 다른 지파들과는 다르게 땅을 소유하지 않았지만 대신 그들이 예배를 섬기고 거주할 수 있도록 여러 지역에서 성읍과 목초지를 할당받았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레위인들을 특별하게 구별하여 제사장직을 수행하게끔 하셨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이는 공동체 속에서 영적 지도자들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3여호수아 21:23에서 언급된 내용을 통해 우리는 단 지파가 엘드게와 깁브돈 지역을 목초지와 함께 할당받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땅을 분배하실 때 각 지파에게 할당된 영토에 대한 상세한 기록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지리적 분배는 각 지파의 생활과 생계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또한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24여호수아 21장 24절은 레위인들에게 주어진 성읍들의 목록 중 하나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구절에서는 아얄론과 그 목초지, 그리고 가드 림몬과 그 목초지가 레위인들에게 할당된 네 개의 성읍임을 언급합니다. 아얄론은 현재 이스라엘의 아이알론(Ayalon) 지역으로, 가드 림몬 또한 신약성경에서 리모노나(독실)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분배는 하나님께서 주신 대로 모든 지파에게 균등하게 땅을 나누어줌으로써 각 지파와 그 구성원들이 상호 의존하며 살아가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5여호수아 21:25에 언급된 다아낙과 가드 림몬은 므낫세 반 지파에게 주어진 도시들로, 레위 지파의 자손들이 살기 위한 장소로 할당되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 자손이 약속된 땅을 정복하고 각 지파에게 배분하는 과정에서 레위인들에게 거할 성읍과 그 주변 목초지를 제공한 사례입니다. 다아낙은 요단강 서쪽 현대 이스라엘 지역에 위치했으며, 가드 림몬 또한 같은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레위인들의 생계를 보장하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26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지파들에게 땅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레위인의 거주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레위 사람들 중 그핫 자손에게 주어진 성읍들은 열 개의 성읍과 그에 딸린 목초지들이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배분은 레위 지파가 다른 지파들과 달리 자기 소유의 땅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전국 각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제사장 직무를 수행하도록 한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 전체를 섬기는 역할을 맡긴 레위인들의 사명을 반영합니다.

27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열두 지파에게 정착지를 배분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레위 지파의 게르손 자손에게 할당된 도시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레위 지파는 제사와 성전 업무를 담당하였기 때문에 다른 지파처럼 넓은 영토를 받지 않았으며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게 되었습니다. 므낫세 반 지파 중에서 할당된 바산 골란(현대의 고란 고원)과 브에스드라는 그들이 받을 도시로서, 특히 바산 골란은 '살인자의 도피성'으로 정해져 의도치 않게 사람을 죽인 이들이 피할 수 있는 성읍이기도 했습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가 함께 이루어짐을 볼 수 있습니다.

28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각 지파별로 땅을 분배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내용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서는 잇사갈 지파에게 할당된 성읍인 기시온과 다브랏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배 과정은 이스라엘 민족의 체계적인 정착과 각 지파의 역할을 명확히 하는 중요한 역사적 배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는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공동체 내에서 질서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29이 구절은 여호수아서에서 레위 사람들에게 할당된 성읍들 중 한 부분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야르뭇과 엔 간님은 레위 지파에게 주어진 상속지로, 이들은 종교적 의무를 담당하며 살아왔습니다. 이 성읍들은 각각 그에 딸린 목초지와 함께 제공되었으며, 이는 레위인들이 생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받았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의 종들을 돌보시고 그들의 필요를 채우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30이 구절은 이스라엘 지파들 가운데 레위 사람들에게 할당된 성읍과 그 목초지를 나열하는 부분입니다. 아셀 지파는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지역 일부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여기서는 레위 지파가 받은 도시 중 미살과 압돈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배분은 하나님의 지시와 명령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레위 사람들이 제사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의 생계를 보장하고 그들이 온전히 하나님께 봉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하신 것이기도 합니다.

31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열두 지파에게 땅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레위인들에게 할당된 성읍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헬갓과 르홉은 납달리 지파의 지역에서 레위인들에게 주어진 성읍들로, 각각 목초지가 딸려 있습니다. 이는 레위인이 영토를 가지지 않는 대신 하나님께서 그들을 위한 거주지와 생활 수단을 마련하셨음을 보여줍니다. 따로 소유할 영토 없이 제사장으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하는 그들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32이 구절은 여호수아서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에 정착한 후 각 지파에게 분배된 성읍과 목초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납달리 지파에게 할당된 도피성과 그 주변 목초지가 상세히 설명되고 있습니다. '도피성'은 실수나 사고로 사람을 죽인 자가 피할 수 있는 장소로, 피해자가 보복을 당하지 않고 안전하게 재판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갈릴리의 게데스(Kedesh-in-Galilee)는 그 중 하나였습니다. 함못 돌(Hammoth-dor)과 가르단(Kartan) 역시 납달리 지파에게 할당된 성읍들로, 이런 제도를 통해 하나님께서 공정함과 정의를 강조하셨음을 볼 수 있습니다.

33이 구절은 이스라엘의 지파인 레위 지파 중 게르손 자손들이 받은 성읍의 수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레위 지파에게 땅을 분배하면서 각 가족에게 성읍과 목초지를 주셨습니다. 게르손 자손은 이러한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 속에서 모두 열세 개의 성읍과 그 주변의 목초지를 받아 살게 되었습니다. 이는 그들이 어디서든 하나님을 섬기고 율법을 가르칠 수 있도록 배려한 조치였습니다.

34여호수아 21:34은 레위 지파의 한 분파인 므라리 자손에게 할당된 성읍과 그 목초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레위 사람들에게 각각의 지파에서 거주할 땅을 분배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스불론(스블론) 지파 안에서 욕느암과 가르다라는 지역이 므라리 자손에게 주어졌으며, 이들은 해당 지역 뿐만 아니라 그 주변 목초지까지 제공받아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제사장으로 섬기는 레위 사람들을 위해 배려하고 공급하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35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지파들에게 땅을 분배하는 과정을 기록한 부분에서, 레위인들에게 주어진 특정 성읍들과 그 주변 목초지를 언급합니다. 딤나는 후에 유다 지파의 한 도시(현재 팀나, Timnah)로 알려져 있으며, 나할랄은 납달리 지파에 속한 지역(현재 이블린, Ibillin)입니다. 이들은 모두 레위인들이 거주하며 사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할당해준 지역들입니다. 이러한 배분은 하나님의 공평하심과 모든 지파들이 그분의 법 아래 고르게 살아가야 함을 상징합니다.

36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르우벤 지파에게 할당된 땅을 묘사한 부분입니다. 베셀과 야하스는 요단강 동쪽, 현재의 요르단 지역에 위치했던 도시들로, 하나님께서는 이 도시들과 그 주변 목초지를 함께 주어 율법에 따라 레위인들이 거주할 수 있도록 하셨습니다. 이와 같은 할당은 하나님의 공평하고 체계적인 분배 계획의 일환으로,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각각 적절한 땅과 자원을 제공하여 그들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게 하려는 뜻이 깃들어 있습니다.

37이 구절은 레위 지파에게 분배된 도시에 대한 묘사 중 하나입니다. 여호수아가 약속의 땅 가나안(현재의 이스라엘 및 팔레스타인 지역)을 정복한 후, 하나님께서 명하신 대로 각 지파에게 땅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레위 지파는 성막 봉사를 담당하는 제사장 역할을 했기 때문에 별도의 영토를 받지 않았지만, 대신 여러 지파들로부터 도시와 그에 딸린 목초지를 받아 생활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 언급된 '그데못', '므바앗'과 같은 도시들은 그런 이유로 레위인들에게 할당된 네 개의 성읍 중 일부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대로 이루어진 공평하고 체계적인 분배를 보여줍니다.

38이 구절은 여호수아서에서 레위 지파에게 주어진 성읍들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갓 지파에게 할당된 지역 중 하나로 길르앗의 라못이라는 도피성이 언급되고 있으며, 이는 부지중에 살인한 사람이 초래될 보복을 피할 수 있는 이스라엘의 법적인 보호처입니다. 또한, 이 구절은 마하나임이라는 도시와 그 목초지를 언급하며, 이러한 분배는 하나님께서 모든 지파들에게 평등하게 땅을 나누어주신 것을 반영합니다. 길르앗(현재 요르단)과 마하나임(현대 이스라엘 남부 혹은 요르단 북부)은 각각 중요한 역사적 장소로서 성경 내에서 여러 차례 언급됩니다.

39이 구절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레위 지파의 성읍과 그 목초지를 분배하는 과정에서 언급된 내용입니다. 여기에 나오는 헤스본과 야셀은 오늘날 요르단에 위치한 고대 도시들로, 레위인들이 거주하며 양떼를 돌볼 수 있도록 지정된 네 개의 성읍 중 일부입니다. 이러한 배치는 하나님께서 레위 지파에게 주신 특별한 사명을 감안하여 마련된 것으로, 그들이 다른 지파들 사이에서 율법을 가르치고 영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게 하기 위함입니다.

40여호수아서 21장 40절은 레위 지파의 므라리 자손이 그들의 가족대로 제비를 뽑아 얻은 성읍이 열두 성읍이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약속하신 가나안 땅을 분배할 때, 레위 지파에게도 거주할 성읍을 제공하셨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레위인들은 전통적으로 제사장 직무를 맡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농업 활동보다는 종교적 업무에 집중했습니다. 이를 위해 하나님께서는 각 지파로부터 일정한 성읍과 주변 목초지를 제공받게 하셔서, 그들이 안정적으로 사역을 이어갈 수 있도록 배려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어떻게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균형있게 베풀어졌는지를 나타내며, 또한 신앙 공동체 안에서 서로 돕고 협력하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41이 구절은 레위 지파가 이스라엘 자손의 기업 중에서 받은 성읍과 목초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여호수아는 가나안 땅 분배 시 레위 지파에게 기업을 주지 않았지만, 대신 다른 지파들 사이에서 48개의 성읍과 그 목초지를 할당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레위인을 제사장의 역할을 감당하도록 하셨기 때문에 그들이 특정한 땅을 소유하지 않도록 하신 것입니다. 이러한 배치는 그들의 사역이 이스라엘 전역에 널리 퍼져 있을 수 있게 했으며, 동시에 다른 지파들이 하나님과 그의 율법 교육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42이 구절은 여호수아에서 레위 지파에게 할당된 성읍들에 대한 설명의 일부입니다. 레위 지파는 제사장직을 맡았기 때문에 땅을 따로 분배받지 않았으나, 그들이 살아가고 생활할 수 있도록 매 성읍마다 목초지가 제공되었습니다. 이는 제사장들이 경작할 땅이 없어도 하나님께서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신다는 의미이며,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공동체 안에서 서로 협력하며 살아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목초지는 가축을 기르기 위한 필수 요소였기에, 이러한 배려는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는 한편 하나님께서 신실하게 공급하심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43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조상들에게 약속하신 가나안 땅(현재의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지역)을 마침내 그 후손들이 차지하고 거주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부분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하신 언약을 신실하게 지키시어, 여호수아를 통해 그들의 후손인 이스라엘 민족에게 땅을 주심으로써 약속이 성취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하나님의 변함없는 신실성과 그분의 언약이 언제나 이루어짐을 강조합니다.

44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약속의 성취를 나타냅니다.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의 조상들에게 주기로 약속하신 땅을 그들에게 실제로 주셨으며, 그들을 둘러싼 모든 적국들로부터 승리를 얻게 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이 그들의 원수들을 모두 그들의 손에 넘겨주셨기에 가능했습니다. 따라서 이 구절은 하나님의 신실함과 전능하심을 강조하며, 하나님께서 자신과 언약을 맺은 자들에게는 반드시 그의 약속을 이루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45이 구절은 하나님의 약속의 신실성과 변함없는 신뢰성을 강조합니다. 여호와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모든 선한 말씀을 모두 이루셨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신실하신 분임을 밝혀주며, 그분의 약속은 반드시 성취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우리도 하나님의 말씀과 약속을 믿고 따를 때, 마찬가지로 그분의 인도와 축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easy bible

여호수아 21장 해설

레위 지파의 성읍 분배 및 이스라엘의 안식 추구

여호수아 21:1-45 관련 성경

여호수아 개요
여호수아 21장
여호수아 21:1
여호수아 21:2
여호수아 21:3
여호수아 21:4
여호수아 21:5
여호수아 21:6
여호수아 21:7
여호수아 21:8
여호수아 21:9
여호수아 21:10
여호수아 21:11
여호수아 21:12
여호수아 21:13
여호수아 21:14
여호수아 21:15
여호수아 21:16
여호수아 21:17
여호수아 21:18
여호수아 21:19
여호수아 21:20
여호수아 21:21
여호수아 21:22
여호수아 21:23
여호수아 21:24
여호수아 21:25
여호수아 21:26
여호수아 21:27
여호수아 21:28
여호수아 21:29
여호수아 21:30
여호수아 21:31
여호수아 21:32
여호수아 21:33
여호수아 21:34
여호수아 21:35
여호수아 21:36
여호수아 21:37
여호수아 21:38
여호수아 21:39
여호수아 21:40
여호수아 21:41
여호수아 21:42
여호수아 21:43
여호수아 21:44
여호수아 21:45
여호수아 21:1-2
여호수아 21:1-3
여호수아 21:1-6
여호수아 21:1-19
여호수아 21:1-42
여호수아 21:1-45
여호수아 21:2-3
여호수아 21:4-7
여호수아 21:8-16
여호수아 21:9-13
여호수아 21:9-26
여호수아 21:11-13
여호수아 21:13-19
여호수아 21:13-38
여호수아 21:17-18
여호수아 21:20-25
여호수아 21:20-33
여호수아 21:20-45
여호수아 21:34-42
여호수아 21:41-42
여호수아 21:43-45
여호수아 21:4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