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레위기 13:29-37
레위기 > 13장 > 29-37절
레위기 13:29-37 개역개정
남자나 여자의 머리에나 수염에 환부가 있으면
제사장은 진찰할지니 환부가 피부보다 우묵하고 그 자리에 누르스름하고 가는 털이 있으면 그가 그를 부정하다 할 것은 이는 옴이니라 머리에나 수염에 발생한 나병임이니라
만일 제사장이 보기에 그 옴의 환부가 피부보다 우묵하지 아니하고 그 자리에 검은 털이 없으면 제사장은 그 옴 환자를 이레 동안 가두어둘 것이며
이레 만에 제사장은 그 환부를 진찰할지니 그 옴이 퍼지지 아니하고 그 자리에 누르스름한 털이 없고 피부보다 우묵하지 아니하면
그는 모발을 밀되 환부는 밀지 말 것이요 제사장은 옴 환자를 또 이레 동안 가두어둘 것이며
이레 만에 제사장은 그 옴을 또 진찰할지니 그 옴이 피부에 퍼지지 아니하고 피부보다 우묵하지 아니하면 그는 그를 정하다 할 것이요 그는 자기의 옷을 빨아서 정하게 되려니와
깨끗한 후에라도 옴이 크게 피부에 퍼지면
제사장은 그를 진찰할지니 과연 옴이 피부에 퍼졌으면 누른 털을 찾을 것 없이 그는 부정하니라
그러나 제사장이 보기에 옴이 여전하고 그 자리에 검은 털이 났으면 그 옴은 나았고 그 사람은 정하니 제사장은 그를 정하다 할지니라
레위기 13:29-37 해설
29레위기 13장 29절은 제사장이 사람의 피부 질환을 판단하는 규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구절에서 특정 부위, 즉 머리나 수염에 환부가 생긴 경우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피부 질환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특별히 주의 깊게 진찰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위생과 공동체 건강을 매우 중시했기에 병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세부적인 지침을 따랐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서 깨끗함과 건강을 유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30이 구절은 제사장이 피부 질환을 판별하는 절차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만약 환부가 피부보다 우묵하고 그 자리에 누르스름한 가는 털이 있다면, 제사장은 그 사람을 부정하다고 선언해야 합니다. 이 증상은 옴, 즉 전염성 있는 나병의 한 형태로 간주되었기 때문입니다. 당시에는 이러한 병을 단순히 건강 문제로만 보지 않고 신앙적, 공동체적 순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히 주의를 기울였던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 앞에서의 거룩함과 공동체의 보존이 강조되며, 오늘날에도 우리는 영적 순결과 책임감을 가지고 살아야 함을 상기시킵니다.
31레위기 13:31에서 제사장은 피부 병변을 관찰하여 그 상태를 평가합니다. 옴이란 고대 이스라엘에서 피부 질환 중 하나였으며, 이는 사회적 격리를 통해 전염을 방지하고 병의 진전을 지켜보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제사장은 환부가 표면보다 깊지 않고 검은 털이 없는지를 확인하여 일주일 동안 격리함으로써 질병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였습니다. 이는 당시 위생과 공중 보건을 위한 조치로, 신앙 공동체 내에서 건강과 영적 순결을 유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32레위기 13:32은 제사장이 피부 병변을 진찰하는 방법에 대한 규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에서 '이레 만에'라는 표현은 일주일 후를 의미하며, 제사장은 그 기간 동안 피부 병변의 변화 여부를 관찰합니다. '옴이 퍼지지 아니하고'는 병균이 확산되지 않음을 뜻하며, '누르스름한 털이 없고'는 황색 털의 부재를 확인함으로써 중증 감염의 징후가 없음을 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피부보다 우묵하지 아니하면'은 피부가 움푹 들어가지 않은 상태를 말하여 심각한 질환을 의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건강과 성결을 유지하기 위한 엄격한 규범이며, 공동체 전체의 보호와 치유를 위해 중요한 절차입니다.
33이 구절은 레위기 13장에서 피부병과 같은 전염성 질환을 다루는 규례 중 하나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옴'이라는 피부병에 걸린 사람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모발을 밀되 병이 있는 부위의 모발은 밀지 않도록 하여 병의 상태를 판단하기 쉽게 하고, 이후 제사장이 그 환자를 일주일 동안 격리하여 상태를 관찰하게 됩니다. 이는 성경에서 위생과 공중보건을 중시하는 규례로, 당시에 질병 확산을 방지하고 공동체의 건강을 보호하려는 목적이 있었습니다.
34이 구절은 구약 성경 레위기에 나오는 피부병에 관한 규례 중 하나입니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다양한 피부 질환을 통해 부정함을 판별하고 치료 과정을 따랐습니다. 제사장은 7일 후에 다시 진찰하여 병이 퍼지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그 사람을 "정하다"고 선언하였습니다. 이는 질병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더불어, 공동체 내에서의 정결함과 사회적 복귀를 의미합니다. '옴'이라고 번역된 단어는 현대적인 의미로 '백선' 또는 '피부염'과 유사한데, 이러한 규례는 건강과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35레위기 13:35은 나병(악성 피부병)이 깨끗해진 후에도 다시 퍼지는 경우에 대한 규정을 다룹니다. 이는 당시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전염병을 철저히 관리하고 공동체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나병이 다시 퍼지게 되면 환자는 제사장에게 나아가 다시 검사를 받아야 했으며, 이는 외부적 청결뿐만 아니라 영적 순전함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규정들을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이 성결한 삶을 살고 공동체 내에서 거룩함을 유지하도록 인도하셨습니다.
36이 구절은 피부병 환자가 부정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것입니다. 제사장은 환자를 진찰하여 병이 피부에 퍼졌는지를 확인합니다. 만약 병이 퍼졌다면, 이미 '옴'(피부질환)의 증상이 나타났기 때문에 누른 털을 찾지 않아도 그 사람은 부정하다고 판결됩니다. 이는 당시 위생과 사회적 격리를 통해 공동체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규정으로, 질병 관리와 영적인 순결을 유지하려는 하나님의 명령입니다.
37이 구절은 레위기에 나오는 정결 규례 중 하나로, 피부 질환에 대한 규정입니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피부 질환을 통해 병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이 필요했습니다. 제사장은 의료적 역할도 했으며, 특정한 증상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보고 판별하였습니다. 이 구절에서 검은 털이 난 옴(피부염)은 치유되었음을 의미했기에 그 사람을 정결하다고 선언하라고 지시합니다. 이는 공동체 내에서 전염병의 확산을 막고, 하나님 앞에 거룩함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레위기 13장 해설
나병 진단과 격리에 관한 규례
레위기 13:29-37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