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로마서 1:26-32
로마서 > 1장 > 26-32절
로마서 1:26-32 개역개정
이 때문에 하나님께서 그들을 부끄러운 욕심에 내버려 두셨으니 곧 그들의 여자들도 순리대로 쓸 것을 바꾸어 역리로 쓰며
그와 같이 남자들도 순리대로 여자 쓰기를 버리고 서로 향하여 음욕이 불 일듯 하매 남자가 남자와 더불어 부끄러운 일을 행하여 그들의 그릇됨에 상당한 보응을 그들 자신이 받았느니라
또한 그들이 마음에 하나님 두기를 싫어하매 하나님께서 그들을 그 상실한 마음대로 내버려 두사 합당하지 못한 일을 하게 하셨으니
곧 모든 불의, 추악, 탐욕, 악의가 가득한 자요 시기, 살인, 분쟁, 사기, 악독이 가득한 자요 수군수군하는 자요
비방하는 자요 하나님께서 미워하시는 자요 능욕하는 자요 교만한 자요 자랑하는 자요 악을 도모하는 자요 부모를 거역하는 자요
우매한 자요 배약하는 자요 무정한 자요 무자비한 자라
그들이 이같은 일을 행하는 자는 사형에 해당한다고 하나님께서 정하심을 알고도 자기들만 행할 뿐 아니라 또한 그런 일을 행하는 자들을 옳다 하느니라
로마서 1:26-32 해설
26이 구절에서 바울은 인간의 죄와 타락에 대해 언급하며, 특히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반하는 행동을 예로 들어 그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사람들을 부끄러운 욕심에 내버려두셨다는 것은, 인간이 고집스럽게 죄를 선택할 때 하나님께서 그들의 자유 의지를 존중하신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순리대로 쓸 것을 바꾸어 역리로 쓰며'라는 표현은 성적 타락과 본래의 자연적 본능을 거스르는 행위를 가리킵니다. 이는 인간의 도덕적 붕괴와 영적인 타락을 보여주며,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뜻과 명령으로부터 전적으로 벗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27로마서 1:27에서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거스르고 불순한 욕망에 빠진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남자들이 하나님이 정하신 자연 순리를 버리고 서로를 향해 음욕을 가지는 것은 죄악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행위는 사람이 스스로 선택한 그릇된 행동의 대가를 반드시 치르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구절은 인간이 자신의 욕망을 제어하지 못하고 죄를 저지를 때 발생하는 영적, 도덕적 타락과 그로 인해 받게 되는 결과에 대한 경고입니다.
28로마서 1:28에서는 사람들이 하나님을 마음에 두기를 거부하였을 때, 하나님은 그들을 그 상실한 마음대로 내버려 두셨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인간이 자신들의 교만과 욕망 때문에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고, 결국 죄악된 길로 빠지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자유 의지를 주셨지만, 동시에 그 선택의 결과에 대해 책임도 지도록 하셨습니다. 따라서 신앙인들은 하나님의 말씀과 가르침을 마음 중심에 두고 살아가야 함을 경고하는 구절입니다.
29이 구절은 사도 바울이 로마서에서 인간의 죄악된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바울은 인류가 하나님을 떠나 살아가는 모습과 그로 인한 결과들을 구체적으로 열거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언급되는 불의, 추악, 탐욕, 악의 등은 하나님의 뜻에 어긋나는 행위들로써 사람이 죄 속에 빠졌을 때 나타나는 열매들입니다. 이러한 죄들은 인간 관계를 손상시키고 사회를 어지럽게 만드는 요소들이며,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사랑과 거룩함과는 정반대의 성품들입니다. 바울은 이렇게 죄로 가득한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진노가 임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회개와 복음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30이 구절은 사도 바울이 로마 교회에 쓴 서신 중에서 인간의 죄악된 행위를 나열하며 경고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열거된 죄악들은 하나님께서 미워하시는 행동들로, 비방, 능욕, 교만과 자랑, 악을 도모함, 부모를 거역함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거룩한 삶을 돌아보고 회개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긍휼과 은혜를 구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신자들이 하나님 앞에서 더욱 겸손하고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 함을 상기시킵니다.
31이 구절은 사도 바울이 로마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사람들의 죄악된 상태를 묘사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언급된 "우매한 자," "배약하는 자," "무정한 자," "무자비한 자"는 하나님을 떠난 인간의 성향을 나타내며, 그들이 하나님의 의로운 기준을 벗어났음을 강조합니다. 이런 특성들은 사람들 사이의 신뢰와 사랑을 깨뜨리고,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심판을 초래한다는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 없이 살아가는 삶이 얼마나 파괴적이고 비참한지를 보여주며, 회개와 구원의 필요성을 환기시킵니다.
32이 구절은 사람들이 죄를 짓는 행위에 대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그 죄를 지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그러한 죄를 짓도록 권장하거나 옳다고 여기는 상태를 경고합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러한 행위들이 사형에 해당한다고 이미 명확히 말씀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고의적으로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영적 분별력을 상실한 상태임을 지적하는 것입니다. 이는 육체적 죽음뿐만 아니라 영원한 형벌까지도 포괄하여 경고하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로마서 1장 해설
바울의 인사와 복음에 대한 설명
로마서 1:26-32 관련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