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back icon

공유하기

룻기 1:15-22

룻기 > 1장 > 15-22

룻기 1:15-22

룻기 1:15-22 개역개정

나오미가 또 이르되 보라 네 동서는 그의 백성과 그의 신들에게로 돌아가나니 너도 너의 동서를 따라 돌아가라 하니

룻이 이르되 내게 어머니를 떠나며 어머니를 따르지 말고 돌아가라 강권하지 마옵소서 어머니께서 가시는 곳에 나도 가고 어머니께서 머무시는 곳에서 나도 머물겠나이다 어머니의 백성이 나의 백성이 되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 되시리니

어머니께서 죽으시는 곳에서 나도 죽어 거기 묻힐 것이라 만일 내가 죽는 일 외에 어머니를 떠나면 여호와께서 내게 벌을 내리시고 더 내리시기를 원하나이다 하는지라

나오미가 룻이 자기와 함께 가기로 굳게 결심함을 보고 그에게 말하기를 그치니라

이에 그 두 사람이 베들레헴까지 갔더라 베들레헴에 이를 때에 온 성읍이 그들로 말미암아 떠들며 이르기를 이이가 나오미냐 하는지라

나오미가 그들에게 이르되 나를 나오미라 부르지 말고 나를 마라라 부르라 이는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 하셨음이니라

내가 풍족하게 나갔더니 여호와께서 내게 비어 돌아오게 하셨느니라 여호와께서 나를 징벌하셨고 전능자가 나를 괴롭게 하셨거늘 너희가 어찌 나를 나오미라 부르느냐 하니라

나오미가 모압 지방에서 그의 며느리 모압 여인 룻과 함께 돌아왔는데 그들이 보리 추수 시작할 때에 베들레헴에 이르렀더라

룻기 1:15-22 해설

15이 구절에서 나오미는 과부가 된 두 며느리, 룻과 오르바에게 고향 모압(현재의 요르단)으로 돌아가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오르바는 나오미의 권유에 따라 모압으로 돌아가지만, 룻은 이를 따르지 않고 끝까지 나오미와 함께하기로 결심합니다. 이는 룻의 충성과 헌신, 그리고 자신의 신앙을 넘어서 새로운 백성과 하나님을 선택하는 중요한 결정을 의미합니다. 이 장면은 성경 전체에서 신앙과 가족에 대한 깊은 의미를 가지며, 독자들에게 진실한 사랑과 희생적인 마음을 가르칩니다.

16룻기 1장 16절에서 룻은 시어머니 나오미를 떠나지 않고 함께 하겠다는 결단을 표현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삶을 버리고 나오미와 함께 이방 땅이 아닌 이스라엘로 돌아가기를 선택하며, 이를 통해 자신도 이스라엘 백성의 일원이 되고, 그들의 하나님 즉 여호와 하나님을 자신의 하나님으로 삼겠다고 고백합니다. 이는 룻의 충성과 믿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장면으로, 결국 그녀는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다윗 왕의 조상이 되는 축복을 받게 됩니다.

17룻기 1:17에서 룻은 시어머니 나오미에 대한 깊은 헌신과 충성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가족애를 넘어 선, 하나님 앞에서 맹세하는 것으로, 그녀의 믿음과 결단을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룻의 그윽한 사랑과 의지를 통해 우리는 신앙 안에서 서로를 아끼고 지지하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녀는 자신이 겪게 될 고난에도 불구하고 나홀로가 아닌 함께 하겠다는 다짐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경 속 인물들의 사례는 우리의 신앙 여정에서도 귀감이 됩니다.

18룻기 1장 18절은 룻이 시어머니 나오미를 떠나지 않고 함께 가기로 굳게 결심한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고대 모압(현재의 요르단) 지역에서 벌어진 이 이야기는 룻의 충성심과 헌신을 보여줍니다. 룻은 자신의 출생지와 가족을 떠나 하나님과 그분의 백성을 따르기 위해 나오미와 동행하기로 한 것입니다. 이는 믿음과 사랑으로 맺어진 관계가 혈연보다 더 강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입니다. 또한, 믿음 안에서 서로를 지지하고 의지하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19룻기 1:19은 나오미와 그녀의 며느리 룻이 모압(현재 요르단 내 일부)에 머물다 베들레헴(현재 팔레스타인 영토 내 도시)으로 돌아오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이들이 베들레헴에 도착했을 때, 오랫동안 떠나 있던 나오미를 보고 온 성읍 사람들이 놀라워하며 떠들썩하게 반응했습니다. 이는 나오미가 본래 베들레헴 주민들에게 잘 알려진 인물이었음을 시사하며, 그녀의 귀환이 지역사회에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반응은 이후 룻과 보아스의 이야기로 연결되는 중요한 배경 설정이 됩니다.

20나오미는 남편과 두 아들을 모두 잃고 고향 베들레헴(현재의 팔레스타인 지방)으로 돌아왔을 때 사람들에게 자신을 더 이상 '나오미'(즐거운)라고 부르지 말고 '마라'(괴로운)라고 부르라고 요청합니다. 이는 하나님이 자신을 매우 괴롭게 하셨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이 구절은 인간이 겪는 고통과 슬픔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표현하는지를 보여줍니다. 나오미는 자신의 상황을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들이며, 그로 인해 변한 자신의 상태를 새 이름에 담아 표현하려 한 것입니다.

21이 구절은 나오미가 모압(현재의 요르단 지역)에서 베들레헴으로 돌아온 후,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면서 나온 말입니다. 나오미는 과거에는 풍족했으나 이제는 빈손으로 돌아왔다고 고백하며, 이를 하나님의 징벌과 괴로움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재난이나 불행을 하나님의 심판으로 해석하던 신앙적 배경을 보여줍니다. 나오미의 말은 그녀가 겪은 삶의 고난과 상실감을 깊이 담고 있으며, 동시에 그 모든 일을 하나님께 속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믿음을 나타냅니다.

22룻기 1:22은 나오미와 며느리 룻이 모압(현재의 요르단)에서 베들레헴(현재의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돌아온 시점을 설명합니다. 이 구절은 보리 추수 시즌이라는 구체적인 시기를 언급함으로써, 두 여성이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강조합니다. 보리 수확기는 풍요와 희망의 상징으로, 그들의 귀향이 단지 물리적인 이동뿐만이 아닌 하나님의 섭리를 통한 새로운 시작임을 나타냅니다. 또한 이는 룻과 보아스의 만남을 암시하며 이야기를 예고하는 장면입니다.

easy bible

룻기 1장 해설

룻과 나오미, 베들레헴으로 돌아오다

룻기 1:15-22 관련 성경

룻기 개요
룻기 1장
룻기 1:15
룻기 1:16
룻기 1:17
룻기 1:18
룻기 1:19
룻기 1:20
룻기 1:21
룻기 1:22
룻기 1:1-2
룻기 1:1-3
룻기 1:1-4
룻기 1:1-5
룻기 1:1-6
룻기 1:1-9
룻기 1:1-14
룻기 1:1-18
룻기 1:1-22
룻기 1:2-3
룻기 1:2-4
룻기 1:2-5
룻기 1:3-5
룻기 1:4-5
룻기 1:5-8
룻기 1:6-7
룻기 1:6-10
룻기 1:6-14
룻기 1:6-18
룻기 1:7-8
룻기 1:8-9
룻기 1:8-14
룻기 1:9-14
룻기 1:11-13
룻기 1:11-14
룻기 1:14-15
룻기 1:14-16
룻기 1:15-16
룻기 1:15-18
룻기 1:15-22
룻기 1:16-17
룻기 1:16-18
룻기 1:19-20
룻기 1:19-21
룻기 1:19-22
룻기 1:20-21